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대출규제에 금리인상 여파…3년 국채 금리 3년 만에 2% 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중 금리 상승세가 파죽지세다. 2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시장 금리의 지표물로 통하는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0.097%포인트 오른 연 2.044%에 마감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연 2%대에 진입한 것은 2018년 10월 24일(연 2.007%) 이후 3년 만이다. 올해 최저치인 지난 1월 5일(연 0.936%)보다는 1.1%포인트 넘게 뛰었다. 장기 금리인 10년물 국채 금리도 연 2.487%로, 2018년 8월 14일(연 2.503%) 이후 가장 높다.

중앙일보

미국의 향후 1년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이 6월 4.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수퍼에서 고기를 사고 있는 미 소비자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년 금리도 3년 만의 최고치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에다 긴축 우려가 확산한 결과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10월 채권시장은 '패닉 장세'를 이어갔다"며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 등 해외 여건이 채권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고, 매파(금리 인상 선호)적이었던 10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은행은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다음 달 추가로 올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 15일 국정감사에서 "11월 경제에 큰 위험이 없는 한 금리 인상은 충분히 고려할 수 있겠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대형 은행에서의 대출 한도 소진이 상호 금융기관 등의 대출 수요를 급증시켰고, 이들 기관 중엔 높은 대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채권을 매도하는 기관도 있었다"고 했다.

여기에 더해 이날 SK가 인텔 낸드 사업 부문 인수를 위해 2조~4조원의 신탁을 환매했다는 루머까지 돌았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단기 자금 시장의 수급 꼬임까지 겹치면서 단기채 시장 심리가 위축됐다"고 말했다.

치솟는 시장금리는 가계 대출 금리에 고스란히 반영돼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을 늘린다. 다만 국고채 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등 상승 재료를 선반영한 만큼 금리 급등세가 잦아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