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부스터·아동접종용' 확보에 개도국 '첫 접종' 또 밀릴 우려
"다수 백신 맞지 않는 한 변이 출현으로 팬데믹 장기화 될 수밖에 없어"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레토리아에서 2021년 6월 25일 백신 접종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진 모습. 당시로부터 6개월 후 남아공과 인근 보츠와나에서 발견된 신종 변이는 5번째 '우려 변이'로 지정, 70여개국에서 확산 중이다.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최서윤 기자 = 코로나19 새 변이주 오미크론 등장으로 세계 각국의 백신 확보전이 다시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백신 부족 사태가 재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선진국 독일마저 당장 내년 초 물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밝힌 가운데,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의 1차 접종 순서는 또 밀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카를 라우터바흐 독일 보건장관은 14일(현지시간) 공영방송 ARD와의 인터뷰에서 "내년 1분기 접종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CNN이 보도했다.
그는 "며칠간 백신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백신이 정말 없다"고 말했다.
독일은 완전 접종률이 70%를 조금 밑돌기 때문에 아직 접종률을 끌어 올려야 하는 데다, 부스터샷도 실시되고 있다. 이날부터는 5~11세 아동 접종도 시작해 백신 수요는 계속 늘 전망이다. 하루 확진자도 4만 명대로 올라섰고, 오미크론 확진 수도 80건을 넘어섰다.
선진국 독일마저 이런 상황인데, 개발도상국의 형편이 좋을 리 없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백신연합 가비(GAVI) 등이 운영하는 개도국 백신 보급 프로그램 코백스(COVAX)는 겨우 몇 달 전부터 겨우 목표했던 백신 물량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 흐름을 이어가기 어렵게 생겼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15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가비의 보건정책전문가로서 코백스 매니징 디렉터를 맡고 있는 아우렐리아 응구엔은 "'백신 이기주의(nationalism) 2.0' 같은 시나리오를 피하는 게 당장의 과제"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출시 초기 단계에서 선진국은 필요한 분량보다 더 많은 물량을 거침없이 사들이면서 코백스는 백신을 확보하지 못했다. 저소득·중위소득 국가 90여 개국 백신 공급 물량 절반이 코백스에 의존하고 있다.
백신 제조사들이 비싼 값을 부르는 선진국을 공급 우선순위에 두면서 구매 순서가 밀렸고, 각국이 코로나 지원금을 늘리는 사이 자금 조달도 지연됐으며, 연초 델타 변이 확산 속 인도의 수출 통제는 '직격타'가 됐다.
백신 공유량이 늘기 시작한 건 지난 9월 전 세계 감염세가 안정되기 시작한 무렵부터다. 이제 수출 통제가 완화되고, 기부 백신도 늘고 있으며, 제조사도 약속 물량 공급을 늘리고 있다고 응구옌은 설명했다.
그러나 그마저도 유통기한이 임박한 백신이 많았다. 세네갈과 나이지리아 등 접종률이 한자릿수에 그치는 국가들이 최근 각각 40만 회분, 100만 회분씩 폐기하는 상황에 놓인 이유다. 아프리카 등 개도국은 행정·인프라 여건 상 충분한 기간을 두고 접종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는데, 두 세 달 남은 백신을 받자 기간내 집행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10월 감염세가 반등하고 11월 말 발견된 오미크론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개도국에 유통기한이 충분한 추가 물량이 공급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코백스는 지금까지 6억9300 회분의 백신을 개도국에 보급했으며, 연말까지 8~10억 회분 공급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대로 달성해도 당초 잡은 '연내 20억 회분 공급' 목표의 절반에 그친다.
응구옌은 "내년에도 첫 접종이 부족한 국가에 가능한 한 빨리 백신이 보급되도록 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신 이기주의 2.0이 재현되면 안 되는 이유는 당위성 차원만이 아니다. 아프리카 남부에서 오미크론이 발견된 11월 말 기준 주요 7개국(G20)이 전 세계 백신 80% 이상을 차지했다면, 저소득 국가에 돌아간 몫은 0.6%에 불과했다.
응구옌은 "세계 인구의 상당수가 백신을 맞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는 한 변이 출현으로 팬데믹은 장기화할 것"이라며 "비단 오미크론이 아니라도 다음 '우려 변이'가 또 나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 로이터=뉴스1 자료 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sabi@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