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올해 금리인상 시계는...통화정책 정상화 이르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해 11월 25일 서울 세종대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날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기존 0.75%에서 1.0%로 인상했다.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새해 한국은행이 '금리 카드'를 이용해 추진할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시작된 금리인상에 따라 완화적인 통화정책의 정상화가 올해도 이어지면서 완화 수준을 벗어날지도 관심이다. 지난해 두 차례 금리인상에도 여전히 완화적인 통화수준이라고 진단한 한은이 이달 금리결정을 시작으로 통화 정상화를 넘어 통화긴축까지 나설지 혹은 성장 지원을 위해 금리동결로 전환할지 주목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올해 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첫 회의는 이달 14일이다. 한은은 올해도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22년 신년사에서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추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4일 발표한 '2022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에서도 "물가안정과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해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비롯한 국내외 물가상승과 가계대출 급증 등 금융불균형 우려를 고려한 조치다. 한은은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여전히 완화적인 통화상태라고 진단했다.

특히 물가안정에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금리인상 조치는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을 완화하는 쪽으로 시차를 두고 작용할 것"이라며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 파급효과를 제약해 궁극적으로는 물가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당장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 12월 3.7%로 석달째 3%대를 기록하며 2021년 소비자물가지수가 102.50(2020년=100)을 나타냈다. 작년 대비 2.5% 상승한 것으로 2011년(4.0%) 이후 10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이달이나 내달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시장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온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최근 각국들의 금리인상이 이어지고 있다"며 "오미크론 확산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우려에 금리는 점진적으로 상향되고 다만 물가 안정이 나타나면 단기물 금리는 안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 지난해 11월 금리인상을 결정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도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리동결 소수의견을 밝힌 주상영 위원도 "지표상으로 통화정책의 진로 변경 여부를 고민할 만한 유의미한 변화가 발생했다"며 향후 통화정책 기조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올해 초 금리인상 이후 성장세를 지원하기 위해 금리동결세로 전환할 가능성도 예상됐다. 안재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2월로 갈수록 추가 금리 인상에 다소 부담을 느낄 소비 여건이 될 수 있으며 기준금리 1.25% 복귀는 1월 금통위가 좀 더 편안한 시점이라 판단된다"며 "2차례 금리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가 1%에 복귀하면서 금융안정 효과가 나타났다. 금융 및 물가 안정 목적의 통화정책 정상화 단계는 1월 추가 금리 인상까지로 이후 통화정책 시선은 성장 흐름으로 이동하며 상반기말까지 금리 동결을 통한 경제 성장세 지원에 나설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통화정책 #금리인상 #한은 #금리카드 #통화정책정상화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