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0 (금)

이슈 '오미크론' 변이 확산

"개인보다 사회…미국, 오미크론에 방역정책 대전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국언론 진단…의료마비·인력난에 고육책

오미크론 특색도 고려해 현실적으로 전략 변경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인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인 대유행)이 3년차에 접어든 가운데 기존의 우세종 바이러스와는 성질이 다른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방역 당국의 정책도 전환점을 맞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그동안 개인의 건강에 맞춰졌던 미국 방역 당국의 초점이 사회기능 유지로 이동하고 있다고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합뉴스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코로나 검사소를 찾은 한 가족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맹위를 떨치면서 신규 확진자가 급증한 탓에 의료 분야를 비롯해 사회 각 분야가 인력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존스홉킨스대학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으로 미국에서 일주일 동안 집계된 신규 확진자는 이전 7일과 비교해 89% 증가한 402만 명을 기록했다. 코로나 대유행 사태 이후 미국에서 신규 확진자가 첫 400만 명에 도달하는 데 6개월이 걸린 것과 비교하면 전염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미국 전역에 퍼졌다는 이야기다.

이와 함께 미국의 입원 환자도 12만 명을 초과, 작년 9월 델타 변이 대유행 당시 입원 환자 최고치인 10만4천 명을 훌쩍 넘어섰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 각 분야에서의 직원들의 확진이 속출하면서 사회 기능 전반에도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뉴욕 이타카의 카유가병원의 마틴 스탤론 대표는 "뉴욕의 많은 병원들이 직원과 병상 부족으로 인해 응급실에 환자를 더 이상 받을 수 없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연합뉴스

미국 버지니아주 공항 전광판에 뜬 취소 공지
[AFP/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항공업계도 인력난 등으로 인해 연말 연시 대목에 수천 편의 항공편을 취소했고, 교사들의 확진으로 학교 수업이 이뤄지지 않는 등 확진자 증가로 인한 인력난의 여파가 이제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그러자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뒤 지난 2년 간 개인의 건강 위험 경감에 우선순위를 둬 온 미국 보건 전문가들의 시각도 바뀌고 있다.

볼티모어시의 리애나 웬 전 보건국장은 "오미크론은 우리가 종전에 팬데믹에서 목격한 바이러스와 매우 다르다"며 "오미크론으로 인한 대부분의 백신 접종자들에 대한 위험은 매우 작은 반면, '광범위한 기능장애'라는 측면에서 사회에 미치는 위험은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최근 자가격리 기준을 완화한 것은 미국 방역정책의 전환을 보여주는 신호로 읽힌다.

CDC는 지난해 말 코로나19 감염자의 격리 기간을 종전의 10일에서 절반인 5일로 낮춘 새로운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CDC는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5일간 격리한 후 6일째 되는 날 증상이 없다면, 다른 사람과 어울려도 괜찮다고 방침을 바꾸면서 바이러스 전파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어도 5일간 마스크를 쓰라고 권고했다.

CDC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은 증상이 시작되기 1∼2일 전과 증상 발현 2∼3일 후에 감염력이 가장 높다. CDC의 격리 기간 감축 조치는 의료계 등 산업계의 필수 인력이 코로나에 걸린 뒤 일터에 더 빨리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에 주는 지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보건당국의 정책이 사회기능 유지로 선회하는 까닭은 오미크론이 직전에 맹위를 떨친 우세종인 델타 변이에 비해 성질이 온순해 오미크론에 감염될지라도 중증화로 진행될 가능성이 작다는 특성도 영향을 미쳤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백신 덕분에 면역력을 갖춘 사람들이 더 많아졌고, 과거에 코로나19에 걸린 사람들의 경우에는 오미크론에 다시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작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는 사실도 방역 당국의 정책 선회의 고려 요인이 되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덧붙였다.

ykhyun14@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