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K-제약 도약의 해 "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 5조원 메가펀드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약바이오업계가 2022년을 'K-제약바이오 대도약의 해'로 삼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인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설치하고, 정부 주도로 조성한 5조원대 메가펀드를 통해 후기 임상을 집중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24일 온라인으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산업계의 총력 도전과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K-제약바이오가 퀀텀 점프하는 대도약의 해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개발 신약 4개를 허가받아 1999년 1호 국산 신약이 탄생한 이래 연간 가장 많은 신약 배출 기록을 세웠다. 또 25개사가 총 13조원대의 기술 수출을 기록했고, 의약품 수출은 1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신약 파이프라인은 1477개로, 지난 2018년 573개에서 3년만에 2.6배로 늘어났다.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구개발 비용 비중은 10.7%로, 제조업의 4배가 넘는 수준이다.

원 회장은 이제는 한단계 더 도약할 때라고 강조했다. 기술 수출 뿐 아니라 신약 최종 개발까지 스펙트럼을 확장하는 새로운 방향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 지원이다.

원 회장은 "셀트리온의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하는 코로나19 백신은 국가 위기 상황에서 산업계 역량과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된 좋은 사례"라며 "하지만 지원 범위와 규모는 선진국의 파격적 지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협회에 따르면 미국은 20조원을 지원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만들었고, 영국은 백신 태스크포스(TF)를 구성, 10조원을 지원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탄생했다.

제약바이오업계는 국내에도 대통령 직속으로 전주기의 통합적 육성·지원 컨트롤타워인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 회장은 "산업육성 정책과 재정, 규제가 다부처로 분산돼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기초연구·임상시험·글로벌 진출까지 전주기 관리도 어렵다"며 "연구개발·정책금융·세제 지원·규제개선·인력양성 등을 포괄하는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각 부처 정책을 총괄,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 주도의 메가펀드로 후기 임상을 지원해야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 개발이 가능하다는 조언도 이어졌다.

원 회장은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는 기술수출이 아닌 의약품 개발로 삼고, 정부의 R&D 예산 지원을 2배 이상 확충해야한다"며 "또 블록버스터 개발을 완주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로 5조원 규모 메가펀드를 조성해 후기 임상에 집중적으로 지원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