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오미크론으로 매일 수십만씩 격리된다면... "사회기능 마비 대책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루 확진자 2만~3만 수준이어도 수십만 발 묶여
전문가들 "인구 10%가 일 못 할 가능성까지 대비"
각 사업장, 업무 우선순위 정하고 대체인력 준비
한국일보

25일 오후 광주 북구 선별진료소에서 26일부터 시행하는 오미크론 방역 체계 안내 영상이 나오고 있다. 광주 북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이 우세 변이로 확인된 다음 날인 25일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 기록이 깨졌다. 이날 0시 기준 확진자는 8,571명, 역대 최다다. 전날보다 1,100명 넘게, 지난주 같은 요일보다 2배 넘게 늘었다. 25일 오후 9시까지는 9,218명이 나왔다. 전날 오후 9시까지 확진자 7,437명에 비해 1,781명 많다. 26일 0시 최종 집계하면 1만 명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미크론의 위력이다.

가장 큰 걱정은 이럴 경우 '사회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느냐다. 매일 수만 명, 많게는 수십만 명씩 격리 상태일지 모르는데, 일은 누가 하고 아이는 누가 돌볼지 불안하기만 하다. 국민들은 자가검사키트를 사들이고, 기업들은 대체근무 인력을 찾고 있다. 결국, 각자도생이다.

정부는 분야별 '업무지속계획'을 세우라 했지만, 구체적인 지침이 안 나와 막연하다. 업무지속계획이란 국가적 차원에서는 치안, 소방 등 사회 유지를 위한 최소 기능을 유지할 계획을, 각 회사들 수준에서는 회사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계획을 말한다.

설 지나면 하루 확진자 3만 명 예상


25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오미크론은 2, 3주 안에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달엔 확진자가 하루에 2만~3만 명씩 쏟아질 전망이다. 전문가들 시뮬레이션에서는 상황에 따라 2월 말 9만 명, 3월 중 10만~20만 명까지도 예측됐다.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26일부터 적용되는 새 기준에 따르면 앞으로 확진자는 접종완료일 경우 7일간, 미완료일 경우 10일간 격리된다. 밀접접촉자는 접종완료면 수동감시, 미완료면 7일 격리다. 수동감시는 건강상태를 지켜보면서 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확진 가능성이 남아 있어 6~7일 차에 PCR 검사를 해야 하는 만큼 활동에 제약이 생길 수밖에 없다.
한국일보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8,571명으로 집계된 25일 오후 서울 중구 지하철 1호선 서울역 승강장 안내판에 확진자 정보가 나오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확진자가 1명 나올 때마다 수동감시나 자가격리에 들어가는 사람이 보통 3명 정도 생긴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 1만 명 확진 땐 매일 4만 명이 활동에 제약을 받는다. 일주일이면 30만 명 가까이 격리나 수동감시 상태가 된다. 확진자가 2만, 3만 명까지 치솟으면 이런 인원이 매일 8만, 12만 명씩 뛴다. 확진자가 5만 명을 찍을 경우엔 일주일간 100만 명 이상이 격리나 수동감시 대상이 된다.

재택치료 11만 명, 위중증 1500명이 한계


전문가들 사이에선 확진자 1만 명대가 이어지면 이미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시작되리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중인 환자는 3만2,505명이다. 정부는 설 연휴 이후 방역과 의료 체계를 바꾸는 ‘오미크론 대응 단계’를 시행하고 확진자의 90%까지 재택치료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매일 만 명 넘게 새로 재택치료를 시작하게 된다는 얘기다.

그런데 지난 24일 기준 재택치료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의료기관은 전국에 369개소고, 이들이 관리할 수 있는 환자는 5만8,000명 정도다. 정부는 이달 말 관리의료기관을 400개 이상으로, 관리 가능 인원을 11만 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연휴 전까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는데 실현 가능할진 미지수다. 재택치료자가 방문해 진료를 받는 외래진료센터는 24일 현재 전국에 51곳뿐이다. 다음 달 말 돼야 90개까지 늘어난다.

방역당국이 인정했듯 오미크론 대응 단계 땐 재택치료나 자가격리가 느슨해질 수밖에 없다. 격리 기간이 7일로 짧아지기 때문이다. 젊거나 위험이 덜한 재택치료자에 대한 관리의료기관의 모니터링도 하루 2회에서 1회로 줄어든다. 고위험군이 아니면 역학조사에서도 빠진다.
한국일보

25일 대구 북구의 한 위탁업체 직원들이 코로나19 자가격리 물품을 포장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오미크론이 고령층으로 파고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현재 약 7%인 60세 이상 확진자 비중이 다시 올라갈 거란 예상이다. 당국은 현재 확보한 병상으로 위중증 환자를 1,500명까지 감당할 수 있다고 했다. 이 한계를 넘으면 또 병상 대란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오미크론의 중증화율은 델타 변이의 5분의 1에서 2 정도 수준으로 예상은 하지만, 불확실하다”며 “더 올라갈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인구 10% 일 못 하는 상황까지 대비해야”


젊은 층 다수가 격리되고 위중한 고령층이 늘면 의료는 물론 사회 전체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이를 대비해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 단계에서 실행할 ‘업무지속계획(BCP)’을 분야별로 만들라고 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관계자는 “회사의 재택근무나 대체인력 등은 소관 부처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고 안내했다.

하지만 가이드라인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부처별로 △핵심 업무 우선순위 선정 △비상조직 구성 △재택근무 인원 비중 △대체인력 배치 방안 등이 담긴 BCP 가이드라인을 작성 중이란 설명뿐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0만 명이 확진되고 인구의 약 10%가 일을 못 하는 상황까지 가정한 계획을 모든 사업장이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