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역사상 가장 큰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의 첫 작품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제임스웹 망원경’이 우주에서 처음으로 촬영한 큰곰자리 별빛 이미지. NASA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발사됐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크고 강력한 우주 망원경으로 꼽히는 ‘제임스웹 망원경’이 첫 작품을 지구로 전송했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11일(현지 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제임스웹 망원경은 큰곰자리를 이루는 별 중 하나인 ‘HD-84406’의 18개 이미지를 포착했다. 이 망원경의 주 관측 장비는 18개의 육각형 모양 거울 조각이다. 각각의 거울 조각이 포착한 이미지를 미세하게 정렬해 하나의 선명한 이미지를 만드는 방식을 통해 이 별을 촬영했다.

나사는 이 망원경이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찍은 일종의 ‘셀카’도 공개했다. 망원경에 부착된 적외선 카메라의 특수렌즈가 18개 거울 조각을 찍은 사진이다. 이 특수 렌즈는 기술 정비 과정 등에서만 쓰이는데 의도치 않게 셀카 기능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길이 약 20m, 주 반사경의 지름이 6.5md인 이 망원경은 NASA,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이 약 25년에 걸쳐 100억 달러(약 12조 원)을 들여 만들었다. 기존 허블 우주망원경의 100배에 달하는 성능을 보유했다. 현재 지구에서 약 160만㎞ 떨어진 관측 궤도에 떠 있으며 6월 말부터 본격적인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나사의 2대 수장이자 1960년대 달 착륙 사업을 진두지휘한 제임스 웹 전 국장의 이름을 땄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