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19대 대통령, 문재인

이란 대통령 "핵협상 합의문에 '제재 부활 방지' 조항 포함돼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무장관 "동결 자산 해제 등 선의 보이면 미국과 직접 대화도 가능"

연합뉴스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테헤란=연합뉴스) 이승민 특파원 = 서방과 핵협상 중인 이란이 향후 타결될 합의문에 제재가 부활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증 조항'이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19일(현지시간) 국영 IRNA 통신에 따르면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은 이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한 전화 통화에서 이같이 밝혔다.

라이시 대통령은 "핵협상에서의 어떤 합의에도 제재 해제, 유효한 보증 조항, 정치적 이슈 배제가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진행된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회담에서 이란 대표단은 미국의 정권 교체에도 제재가 부활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증을 요구해 왔다.

사흘 전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외무장관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최소한 미국의 의원들이나 국회의장의 '정치적 성명' 형태의 선언이 있어야 JCPOA 의무 사항으로 복귀가 가능하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란은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시절 미국 등 서방과 핵합의에 서명했다.

그러나 3년 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핵합의에서 탈퇴하고 대(對)이란 제재를 다시 가했다.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미국 측의 보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이란의 주장이다.

한편 아미르압둘라히안 장관은 이날 독일 뮌헨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에서 "핵협상에서 우리는 좋은 합의를 원한다"면서 "만약 협상이 실패한다면 그것은 서방의 책임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직접 대화할 수 있냐는 질문에 그는 "해외 동결 자산을 해제하는 등 가시적인 선의를 미국 측이 먼저 보여야 한다"라고 답했다.

이란 핵합의는 2015년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과 독일 등 6개국과 맺은 국제적 약속이다.

이란과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독일은 지난해 4월부터 복원 협상을 진행해왔다. 미국은 간접적으로 이란과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logo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