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스라엘 총리 "이란과 새 핵합의, 중동 불안정하게 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나프탈리 베네트 이스라엘 총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카이로=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이 정치적 결단을 필요로하는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핵합의 복원을 반대해온 이스라엘이 지금까지 협상 결과를 두고 강력한 우려를 표명했다.

21일(현지시간) 일간 하레츠 등 이스라엘 언론에 따르면 나프탈리 베네트 총리는 전날 유대 기구 대표자 회의에 참석해 이란과 당사국 간에 조율된 새로운 합의가 "중동을 더 격렬하고 불안정하게 만들 것 같다"고 말했다.

베네트 총리는 "이란이 핵 문턱을 넘는 상황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분명하고 협상 불가한 한계선이 있다. 이스라엘은 자위권을 행사할 자유를 항상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란의 앙숙인 동시에 중동 내 비공식 핵보유국인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 개발을 무력으로라도 막겠다는 입장을 지속해서 밝혀왔다.

베네트 총리는 이어 "우리는 (핵 협상이 진행되는) 오스트리아 빈을 바라보고 있으며, 지금까지 봐온 것 때문에 아주 불편해졌다"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그 이유로 2년여에 걸친 핵합의 공백기에 이란이 신형 원심분리기를 개발, 설치, 운용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란은 처음으로 60% 농도로 우라늄을 농축하는 등 한계선을 차례로 넘어왔다"고 지적했다.

베네트 총리는 또 새로운 핵협상 타결로 수십억 달러의 자금이 이란이라는 '테러 장치'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면서 "그러면 이란은 무기급 우라늄 농축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미 설치한 원심분리기 파괴 요구도 먹히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이란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공개 핵사찰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고 베네트 총리는 덧붙였다.

이란과 미국, 프랑스, 영국, 러시아, 중국, 독일 등 6개국은 지난 2015년 이란 핵 프로그램 동결 또는 축소를 대가로 미국, 유엔, 유럽연합(EU)이 경제제재를 푸는 내용의 합의에 서명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2018년 핵 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란은 이에 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을 제한하고 우라늄 농축 농도를 지속해서 높여왔다.

미국에서 핵합의 복원을 원하는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이란과 당사국은 지난해 4월 핵합의 복원 협상을 시작했고, 최근 협상이 막바지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meolaki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