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차기 대선 경쟁

서욱, 우크라 · 北 미사일에 軍 지휘부 전격 소집…대비태세 점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방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에 따라 긴급 주요 지휘관회의를 열고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했습니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오늘(28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주요 지휘관회의를 열고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북한의 연속적인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상황 평가와 군사 대비태세를 점검했다고 국방부가 밝혔습니다.

회의에는 원인철 합동참모의장, 남영신 육군참모총장, 김정수 해군참모총장, 박인호 공군참모총장, 김태성 해병대사령관, 강은호 방사청장, 박종승 국방과학연구소장 등 국방부와 합참, 각 군 및 기관의 주요 직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회의 참석자들은 어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긴밀한 한미 공조 아래 북한의 추가 발사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 태세를 유지하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서 장관도 모두발언에서 "북한이 올해 8차례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군사적 긴장을 조성하고 있다"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에 대한 집중감시와 확고한 대응 태세 유지"를 지시했습니다.

북한은 어제 발사한 탄도미사일에 대해 '미사일' 언급 없이 군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이었다고만 발표했는데, 군 당국은 올해들어 이어지고 있는 무력시위의 연장선이라고 평가한 셈입니다.

서 장관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서는 "해당 사태가 국가안보에 시사하는 교훈을 바탕으로 강력한 국방력을 유지하는 것이 평화를 지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주요 지휘관회의는 당초 계획돼 있지 않다가 지난주 전격적으로 잡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북한의 무력시위 재개 여파로 한반도 안보 정세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군 차원에서 대비태세를 점검하는 한편 일부 과도한 안보 불안 여론을 잠재울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오늘 회의에서는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억제·대응 전력 등이 담긴 '특별 동영상'이 상영됐습니다.

특히 해당 영상에 지난 23일 이뤄진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과 장사정포 요격체계(LAMD) 시험발사 성공 장면이 포함됐다고 국방부는 설명했습니다.

초음속 순항미사일과 지대공 미사일(M-SAM Ⅱ) 전력화 사실도 처음으로 공식 확인했습니다.

국방부는 "기존의 패트리엇 성능개량, 주한미군 사드체계와 더불어 최근 L-SAM 시험발사 성공과 M-SAM II 전력화 등 종말단계 미사일방어체계 구축의 토대를 마련한 것도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국방부는 "심화하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지난해 한미 미사일지침 종료에 따라 장사정·초정밀·고위력의 다양한 탄도미사일 개발을 가속화해 전략표적에 대한 압도적인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중·장거리 요격미사일 전력화 및 성능향상을 통해 미사일 방어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국방부 제공,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2022 대선, 국민의 선택!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