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6G 주도권 전쟁

"2028년 5G보다 50배 빠른 6G시대 열 것"[MWC 202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임혜숙 과기장관 기조연설
농어촌 5G 공동망 등 성과 소개
외국 장관들과 ICT 협력 논의


파이낸셜뉴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일(현지시간) MWC 2022 장관급 프로그램 기조연설에서 'B5G(Beyond 5G)와 6G : 디지털 대항해 시대를 향하여'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바르셀로나(스페인)·서울=김미희 김준혁 기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국제모바일기술박람회(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2)을 통해 오는 2028년에서 2030년 사이 상용화를 목표로 지금 5G보다 50배 빠른 6G 시대에 대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 장관은 1일(현지시간) MWC 2022 장관급 프로그램 기조연설에서 "2019년 첫 상용화 이후 글로벌 5G 가입자는 이미 6억명을 넘어섰고, 전 세계 5G 휴대폰 출하량은 7억대를 돌파했다"면서 "한국 역시 지속적으로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품질을 높이고자 노력한 결과 글로벌 조사기관의 5G 속도 및 커버리지 평가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전했다.

임 장관은 28㎓ 백홀을 활용한 지하철 와이파이(WiFi) 구축을 비롯해 농어촌 5G 공동망 구축과 수요기관 맞춤형 5G(이음5G) 활성화 등 5G 확산을 위한 노력도 설명했다.

임 장관은 "플랫폼 기업과 공동기관 등 다양한 참여자들이 이음5G를 이용해 자율주행 로봇, 지능형 의료 데이터 관리 등 각 기업과 기관에 특화된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를 도입하고자 준비하고 있다"면서 "선박 제조현장에 5G를 적용해 3차원(3D) 모델링된 가상공간에서 선박건조가 실시간 제어 및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임 장관은 5G에서 6G 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더욱 고도화된 AI와 보안기술이 네트워크와 결합, 디지털 대전환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 장관은 "미래 시대는 비욘드 5G 등 고도화된 통신기술 기반으로 AI, 클라우드 등 혁신적 디지털 기술이 융합해 가상융합공간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신대륙을 개척하는 디지털 대항해 시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임 장관은 MWC 2022 기간 미국, 핀란드, 인도네시아 등과 양자면담을 통해 5G와 6G,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등 정보통신기술(ICT) 협력을 논의했다. 임 장관은 미국 제시카 로젠워셀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을 만나 미국 낙후 지역 초고속 인터넷 접근 개선을 위한 광대역통신망 구축 과정에서 우수한 장비 및 운용 노하우를 보유한 국내기업과 협력을 제안했다. 임 장관은 또 핀란드 티모 하라카 교통통신부 장관과 만나 양국 5G 현황을 공유하고, 현재 진행 중인 6G 통신기술과 보안 분야 공동연구 등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하기로 했다.

김미희 김준혁 기자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