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오미크론' 변이 확산

인도 '오미크론 파동' 끝나나…신규 확진 4천명으로 '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월 하순 34만명서 급감…당국, 일상 회복 박차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해지면서 인파로 혼잡한 인도 첸나이의 한 시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지난 몇 달간 인도를 강타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파동'이 종식되는 분위기다.

8일(현지시간) 인도 보건부 통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인도의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3천993명으로 집계됐다.

인도의 신규 확진자 수가 4천명 이하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20년 5월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지난 1월 21일 34만7천254명으로 고점을 찍은 신규 확진자 수가 약 한 달 반 만에 90분의 1가량으로 줄어든 셈이다.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에 먼저 노출되며 홍역을 치렀던 대도시의 확진자 수도 크게 감소했다.

수도 뉴델리에서는 지난 1월 14일 하루 확진자 수가 2만8천867명까지 치솟았지만, 이날에는 158명만 보고됐다.

역시 오미크론 확산에 시달렸던 경제 중심도시 뭄바이의 신규 확진자 수도 이날 38명으로 감소했다.

인도 전체 신규 사망자 수도 이날 108명에 그쳤다. 이 수치는 지난달 초 1천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인도의 누적 확진자 수는 이날 4천297만1천308명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인도 뉴델리의 코로나19 방역 벽화 앞을 지나는 학생.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확산세가 크게 주춤해지자 당국은 방역 조치를 대부분 푸는 등 일상 회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뉴델리는 지난달 말 야간 통행금지를 해제하고 전 학교의 등교 수업을 허용했다. 홀짝제로 하루씩 번갈아 문을 열게 했던 상점 관련 제한 조치는 지난 1월 말 이미 푼 상태였다.

해외 입국자에 적용됐던 7일간의 자가 격리 조치도 지난달 중순부터 해제됐다.

인도의 1차 파동은 2020년 9월께 발생했으며 지난해 4∼6월에는 '대확산'으로 불린 2차 파동이 덮쳤다.

이제 오미크론 변이가 촉발한 3차 파동이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드는 셈이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파동이 잠잠해지더라도 오는 6월께 '4차 파동'이 올 수 있다며 방역 태세를 늦추지 말라고 조언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연합뉴스

인도의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 발생 추이.
[월드오미터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coo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