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경제 제재가 한층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8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원유·가스 수입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글로벌 경제 후폭풍이 예상된다.
백악관은 러시아의 무력 침공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경제 측면에서는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즉각 반응이 예상되는 것은 국제 유가의 추가 급등이다.
러시아는 세계 3위 산유국이자 1위 수출국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공급망에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산 원유가 시장에서 퇴출 될 경우 수급 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러시아산 석유 수출은 지난해 12월 기준 하루 780만배럴(원유·정제유)에 이른다.
따라서 수급 불균형이 장기화된 상태에서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겹치게 되면 이미 14년만에 최고치를 찍은 유가는 역대 최고 기록을 깰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EPA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제 JP모건은 러시아산 원유 공급 차질이 올해 지속된다면 국제유가는 배럴당 185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크(AOA)는 이보다 더 높은 배럴당 200달러까지 예상하고 있다.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노빅 부총리는 "러시아 석유에 대한 거부는 글로벌 시장에서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유가가 배럴당 300달러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그동안 미국의 러시아 압박에 동조했던 유럽이 이번에는 동참하지 않은 것이다.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탓이다. 바이든 대통령도 이런 상황을 이해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나친 유가 급등은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아 경기 불황 속 물가가 오르는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이 지구촌에 덮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AP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지난 7일 보고서에서 러시아에 대한 전방위 에너지 제재가 실행될 경우 러시아 경제는 최대 25% 위축되고 선진국들의 물가상승률은 두배로 치솟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비단 유가의 문제만이 아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구리, 알루미늄, 팔라듐, 니켈 등 원자재 가격은 물론 밀 등 곡물 가격까지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어 반도체, 전기차 등 산업 전 분야에 걸쳐 글로벌 경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0%를 넘어 2분기 연속으로 3% 이상을 기록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서방국들의 경제 제재 우려로 불 붙은 국제유가, 천연가스, 곡물가격 상승세가 이달부터 물가에 반영될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