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차기 대선 경쟁

"우리 尹총장이 尹당선인 됐다"…1년+5일 '뚝심의 어퍼컷'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불과 1년+5일.

‘윤석열 검찰총장’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으로 바뀌는 데 걸린 시간이다. 윤 당선인은 한국 정치 사상 정치 입문 뒤 최단 기간에 대통령에 당선된 정치인이 됐다.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든 짧은 기간이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우리 윤 총장”이 문재인 정부를 교체한 ‘윤 당선인’으로 변모하는 과정은 과거 어떤 대선 후보보다 드라마틱했다. 압도적 대세론은 추락했고, 깊은 수렁에서 반전의 모멘텀이 만들어졌다. 지난 1년 5일의 시간 중 윤 당선인의 행로에 큰 영향을 미친 결정적 장면들을 추려봤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검찰총장 시절이던 2020년 10월 22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①검찰총장 사퇴

“어느 위치에 있든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국민을 보호하겠습니다.”

지난해 3월 4일 윤석열 검찰총장은 280자 사퇴 입장문을 읽고 검찰을 떠났다. ‘검찰총장 윤석열’의 마지막 장면이자 ‘정치인 윤석열’의 서막이었다. 윤 총장은 2019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수사를 계기로 야권의 '예비 후보'명단에 이름이 올랐다. 구심점 없이 헤매던 보수진영은 문재인 대통령과의 충돌을 겁내지 않고 거침없이 조국 전 장관을 수사한 윤 총장에게 관심을 보내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서초동과 광화문 집회로 두 동강이 났지만, 윤 총장은 여론조사에서 순식간에 야권 대선 주자중 1위로 떠올랐다.



이른바 ‘추·윤 갈등’은 정치인 윤석열의 탄생에 날개를 달았다. 추미애 전 법무장관의 징계 청구와 윤 총장에 대한 정직 처분, 이후 법원의 집행정지 판결로 인한 직무복귀까지. 때릴 수록 커지는 존재감에 윤 총장은 대선출마를 결심하게 된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3월 4일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과의 갈등 끝에 검찰총장직에 대해 사의를 표명한 뒤 모습. 직원들과 인사를 나눈 뒤 꽃다발을 들고 대검찰청 청사를 나서고 있다. 김경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②대선출마 선언

검찰총장 사퇴 뒤 117일만인 지난해 6월29일의 대선 출마 선언, 장소는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이었다. 입당 전이지만 현재는 ‘윤핵관(윤석열 핵심관계자)’으로 불리는 권성동 의원을 포함해 국민의힘 의원 25명이 함께했다. 야권 대표 후보로서의 입지가 분명하게 다져진 순간이다. 장모가 요양병원 불법 개설 혐의로 징역 3년형을 받고 구속되며 대권 가도의 빨간불이 켜지는 ‘정치인 윤석열’의 첫번째 위기가 닥쳐온 시기이기도 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6월 29일 서울 서초구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에서 대선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③국민의힘 입당 4개월 만에 대선후보 선출

윤 당선인은 여러 악재 속에 7월 30일 국민의힘에 전격적으로 입당했다. 입당 시기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호남을 방문하던 때라 ‘대표 패싱’ 논란이 일었다. 경선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TV토론 중 윤 후보 손바닥에 적힌 ‘왕(王)’자 무속 논란,“전두환이 정치는 잘했다”는 실언이 시련이었다. 일반 여론조사에서 홍준표 의원에게 추월을 당하는 우여곡절 속에서도 윤 당선인은 당원 조사의 압도적 승기로 지난해 11월 5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 자격을 거머쥐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11월 5일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2차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 된 후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④‘윤핵관’ 파동과 김종인과의 결별

입당 때부터 삐걱댔던 이준석 대표와의 갈등은 11월 말 이른바 ‘윤핵관’ 문제로 폭발했다. ‘윤핵관’을 “파리떼”"하이에나"로 비판하며 잠행에 돌입한 이 대표와의 갈등 봉합을 위해 윤 당선인은 12월 3일 직접 이 대표가 있던 울산으로 향했고, 이날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까지 선대위에 전격 영입하면서 갈등은 일단락 되는 듯 했다.

그러나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배우자 김건희 씨의 허위경력 논란 속에서 이 대표가 선대위를 떠나며 윤 당선인의 지지율도 곤두박칠쳤다. 김종인 전 위원장의 “후보는 연기만 하라”는 발언이 결정타였다. 윤 당선인은 1월 5일 선대위 전면 해체를 통해 김 전 위원장과의 결별을 선택했다. 다음날 이 대표 퇴진을 요구하는 의원총회에서 윤 당선인과 이 대표의 극적 갈등 봉합이 이뤄졌다. 이준석 표 '여가부 폐지'공약은 20대 남성의 지지율을 급속히 끌어올리며 국면 전환을 주도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오른쪽)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해 12월 3일 울산 울주군의 한 식당에서 만찬 회동 후 포옹하고 있다. 윤 당선인과 이 대표는 당시 이른바 '윤핵관'을 둘러싼 갈등을 빚었고, 이날 울산합의로 갈등을 일시적으로 봉합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⑤마지막에 뚫린 단일화 장벽

상승세를 탄 윤 당선인의 지지율은 단일화 대신 ‘자강론’이 힘을 받는 계기가 됐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월 13일 먼저 “여론조사 경선을 통한 후보 단일화”를 제안했지만 윤 당선인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이 대표가 연일 안 대표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양당 갈등의 골만 깊어졌고, 결국 안 대표가 먼저 20일 단일화 결렬을 선언했다.

역대 대선에서 DJP연합(1997년)과 노무현-정몽준 단일화(2002년)의 최대 피해자였던 '보수 진영의 대표'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단일화 실패로 아슬아슬하게 지게 되면 천추의 한이 될 것"이라고 말한 것도 이즈음이었다.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7일 오전 경기도 하남시 스타필드하남 앞 광장에서 열린 ‘시민이 행복한 나라, 시민이 주인 되는 나라’ 경기 하남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태인·성지원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