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윤석열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도 대안으로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화문청사와 함께 용산 국방부 청사도 대안으로 유력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서울 용산구 용산동의 국방부 청사를 대통령 집무실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15일 전해졌다. 윤 당선인은 대선 때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이전하고 대통령이 거주하는 청와대 내 관저도 광화문 인근에 마련하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광화문 서울청사가 보안상 취약하다는 한계로 용산 국방부 청사를 제2대안으로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내 ‘청와대개혁 태스크포스(TF)’를 총괄하고 있는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국방부 청사에 집무실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용산이 경호나 영빈관, 헬기장 이용 등 요건 봤을 때 괜찮지만, 대통령 집무실이 국민들 품에 가까워진다는 느낌이 덜한 것도 사실”이라며 “장단점을 보고 있으며, 아직 어디로 갈지 최종 확정 단계는 아니다”라고 했다.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외교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도 아직 선택지에 있다는 것이다.

국방부 청사를 제2대안으로 검토하게 된 배경에는 경호 우려라는 현실적 제약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나 외교부 청사와 비교해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고 외부와 차단도 용이해 경호 우려를 덜 수 있다는 계산이다. 기존 청와대를 시민들에 완전 개방할 경우 그 지하의 지하 벙커를 유지하지 않고, 국방부 청사와 연결된 지하 벙커를 유사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함께 고려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방부 이전은 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한다. 국방부 신청사와 구청사에 남은 공간이 충분해 소폭의 리모델링만 하더라도 집무실 등을 옮기는 데 무리가 없다고 한다.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에 둘 경우 삼청동 국무총리공관이, 국방부 청사에 둘 경우 용산구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이나 외교부·국방부 장관 공관이 대통령 관저로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당선인 측근은 “당선인 부부가 서초동 자택에 머무는 방안도 함께 고려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이르면 이번 주 안에 구체적인 청와대 이전 방안을 공개할 계획이다.

조선일보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


[김민서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