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새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부지 유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새 대통령 집무실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 새 정부 임기 첫날부터 청와대가 아닌 새로운 공간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국정을 시작할 것이라고 공언해 왔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로 서울 용산 국방부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윤 당선인측은 새 대통령 집무실로 용산 국방부 청사와 광화문 외교부 청사를 두고 저울질 하고 있지만 경호상의 문제와 업무 효율성 등을 고려해 용산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이 현실화되면 지어진 지 20년 가까이 된 국방부 청사보다는 최근에 완공된 합동참모본부 청사가 될 전망이다.

청와대 이전을 포함한 청와대 개혁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과 대통령 경호처장으로 거론되고 있는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이 이미 국방부를 방문해 집무실 이전 가능성을 점검 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당선인은 이번 주말 쯤 청와대 이전과 관련한 보고를 받고 최종 결정을 할 예정이다.

윤 당선인측 관계자는 “대통령 집무실로 용산 국방부 청사와 광화문 외교부 청사 2곳을 현재 검토하고 있다”며 “이르면 이번 주 안에 구체적인 청와대 이전 방안을 당선인에게 보고한 후 최종 결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윤 당선인은 후보시절 ‘광화문 집무실’을 공약했지만 이전 정부에서 ‘광화문 집무실’에 대해 여러 차례 검토한 결과 이미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난 상태다.

윤 당선인의 구상인 잠은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자고, 업무는 정부서울청사에서 보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 위기상황관리는 기존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하는 방안이 국가원수의 동선으로는 무리라는 것이다.

대안으로 제기된 국방부의 경우 여러 모로 광화문 보다는 유리한 조건이다. 우선 기존 국방부 헬기장과 지하벙커 등 대통령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져 있다. 국방컨벤션 등 일부 부대시설은 조금만 리모델링하면 외빈 영접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국방부와 붙어 있는 용산 미군기지가 공원으로 조성되면 대통령이 시민들과 수시로 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용산공원의 일부 공간은 필요에 따라 대통령이 사용할 수도 있다. 국방부와 담 하나를 마주하고 있는 주한미군 장성식당 ‘하텔하우스’ 부지는 대통령의 관저로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이전은 ‘용의 땅’ 대통령 시대를 여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용산의 지명이 한양도성 서쪽으로 뻗어나간 산줄기가 한강변을 향해 꾸불꾸불하게 지나가는 모양이 마치 용이 몸을 틀어 움직이는 형상을 하고 있다는 데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이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향후 국방부와 합참의 이전으로 군 조직의 효율적 배치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정부의 행정조직인 국방부는 과천이나 세종의 정부청사로 이전하는 게 마땅하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래다. 다른 방안으로는 육·해·공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로 이전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국방부가 계룡대로 이전할 경우 각군본부와 중첩된 행정업무를 통합해 인력 감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군 최고 지휘 조직인 합참이 전시 전쟁지휘부가 꾸려지는 수도방위사령부 부지로 이전할 경우 군의 작전대비 태세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