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광화문 외교부 청사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4일 저녁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 통화하고 있다. 2022.3.15 국민의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또는 광화문 외교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당초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로의 이전을 검토했으나 건물 내 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국방부 청사와 외교부 청사가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다.

다만 역대 정부에서도 당초 공약과 달리 취임 후 경호·의전 문제로 집무실 이전을 결국 포기한 전례가 있어 최종 이전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15일 윤 당선인이 꾸린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팀장에 내정된 윤한홍 의원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당선자께서 청와대를 나오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려는 의지가 확고하다”며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대신 옆 건물인 외교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과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TF는 이번 주 내 구체적인 이전 방안을 확정 짓는 것을 목표로 내부 회의를 진행 중이다. 윤 당선인은 지난 1월 국정운영 계획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대통령실은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구축될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러나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는 다른 부처들과 함께 이용해야 해 건물의 절반밖에 활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배제된 상태다.

국방부 청사를 이용하면 광화문에 비해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고 외부와의 차단도 용이해 경호 우려를 덜 수 있다. 유사시 국방부 지하 벙커를 쓸 수 있는 것도 이점이다. 국방부에 집무실을 두게 된다면 대통령 관저는 용산구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꾸려질 가능성이 크다.

외교부 청사로 결정될 경우 삼청동 국무총리공관이 관저로 유력하다. 다만 정부서울청사와 마찬가지로 경호 등은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윤 의원은 “광화문은 유동인구가 많아 바리케이드나 전파 차단으로 시민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우려되는 부분이 많다”고 했다.

이하영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