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4월에도 등교전 신속항원키트 검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3월 개학에 맞춰 안정적 등교수업을 지원하고 학생 안전을 위해 한시적으로 도입했던 '신속항원검사도구(자가진단키트)를 활용한 선제검사' 방침을 4월에도 이어가기로 했다. 다만 2주차까지는 기존과 같이 학생 2개, 교직원 1개를 지원하고, 3주차부터는 학생과 교직원 모두 1개씩만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16일 "개학 이후 한 주간 자가진단앱과 검사 도구 및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연계 분석한 결과, 확진자 16만명을 조기에 발견하는 등 (선제검사의) 효과성이 입증됐다"며 이렇게 밝혔다.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이 이날 공개한 '3월 첫째주 검사도구 활용 선제검사 및 유전자증폭(PCR) 검사 결과'에 따르면, 키트 검사 결과 양성자 중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통해 확진된 비율인 '양성예측도'는 89.01%에 이른다.

이에 따라 4월에는 총 4290만개의 자가진단키트가 학생과 교직원에게 지원된다. 여기에 소모되는 비용은 교육부 특별교부금 208억원과 시도교육청 예산 832억원 등 총 1040억원이다.

한편 교육부는 이달 말부터 5∼11세(2010년∼2017년생) 소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됨에 따라 '학생 백신접종 이상반응 건강회복 지원 대상'에 이들을 새롭게 포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접종 당시 만 18세 이하 학생이 접종 후 90일 이내 중증 이상 반응이 발생했으나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워 국가 보상을 받지 못할 경우, 교육부는 의료비를 5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은 지원 대상을 12~17세로 한정했다.

[전형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