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윤석열, 대통령 집무실 국방부 청사 이전 적극 검토…'용산 시대' 열리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초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외교부 청사 거론…경호 문제 등 발생

용산, 광화문 비해 경호 등 수월…헬기 이착륙 공간도

아시아투데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점심 식사를 위해 식당으로 이동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유진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청와대 집무실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관저는 한남동 합참의장·육군참모총장·연합사부사령관·해병대사령관 공관이나 국방부·외교부 장관 공관으로 이전하는 ‘용산 대통령 시대’를 적극 검토 중이다.

당초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나 외교부 청사 이전 방안이 먼저 거론됐지만, 경호와 보안 문제 등으로 국방부 청사가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청와대 집무실을 옮겨 국민에 개방해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해 온 윤 당선인의 강력한 의지가 집무실 이전에 속도를 가하는 모양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용산을 포함해 지금 여러 개의 후보지를 놓고 검토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기존의 청와대로 윤 당선인이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라고 밝혔다.

특히 김 대변인은 “대통령 집무실을 결정할 때는 신호등 갯수도 파악해야 될 정도다. 국민들께 불편을 드리지 않으면서도 국정 운영을 하는데 원활하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치밀하게 점검하는 과제가 필요하다”며 “5월 10일 저희가 취임해 새 대통령 집무실에서 국민들에게 인사드릴 수 있다는 점만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다”고 거듭 윤 당선인의 이전 의지를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용산 미군기지 부지가 공원으로 탈바꿈하는 것과 발맞춰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용산 집무실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경호와 보안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국방부 부지의 장점으로 꼽힌다. 출퇴근 시간 경호, 집회·시위 등으로부터 국방부가 광화문 보다 유리하다.

아울러 기존 국방부 지하 벙커와 헬기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영내에 청와대 영빈관을 대체할 수 있는 국방컨벤션센터가 있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반면 아모레퍼시픽, LS용산타워, 시티파크 등 국방부 주변에 고층건물들이 많다는 점은 단점으로 제기된다. 이들 건물에서 국방부 영내를 들여다볼 수 있어 대통령의 외부 동선이 일반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여석주 전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은 “용산공원 외곽에 있는 고층 아파트에 노출되는 문제, 특히 헬기 진입로를 정확하게 바깥에서 관측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여 전 실장은 “전쟁이나 비상 상황에서 응급조치라면 모를까 대통령실이 국방부와 평시에 공존한다는 것은 매우 비현실적”이라며 “국방부와 합참은 기본적으로 탄약이 장전된 무기가 상시 배치되는 공간인데 그 근접한 공간에 대통령이 상시 위치하고 있다는 것은 경호 측면에서 보면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여 전 실장은 “국방부는 지난 70년간 다져진 국방 시스템의 허브인 동시에 어림잡아 수십조원의 세금이 투여된 국방자산이란 점에서 만약 이전한다면 이전에 필요한 최소한 시간과 공간이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며 “졸속적인 조치나 지시는 안보의 공백을 가져오는 위험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