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시대’ 공약 철회, 당선인이 45분간 설명
대통령 움직일 때마다 ‘전파 교란’
휴대폰 수시로 먹통돼 시민 불편
금융기관 등 업무에 영향줄 수도
‘국민과 소통’ 취지 살렸다지만
공약 준비 부실 등 논란 불가피
윤 당선인은 광화문 집무실 공약을 철회하게 된 이유에 대해 “당선인 신분으로 보고를 받아보니 광화문 시대는 시민들에게 재앙 수준”이라며 “광화문 인근 지역에 거주하거나 빌딩에서 근무하는 분들의 불편이 세밀하게 검토가 안 됐었다”고 했다. 그는 “(광화문에 집무실이 마련되면) 수시로 휴대폰이 터지지 않고, 전자 기기 사용에 지장이 생긴다”며 “기업이나 금융기관에서 몇 분 몇 초라도 그런 일 발생하면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대통령이 이동할 때는 동선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으려 경호 목적으로 전파 방해 장치를 가동한다. 만일 집무실이 광화문 외교부 청사에 마련될 경우 바로 옆 세종문화회관과 인근 빌딩·오피스텔의 주민과 직장인 등은 수시로 휴대전화 불통 현상을 겪을 수 있다는 얘기다.
윤 당선인은 그러면서 “광화문으로 가게 되면 청와대도 100% 개방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는 외교부 청사에는 지하 벙커가 없어 유사시엔 청와대에 있는 기존 벙커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됐다. 외국 대사관들이 주로 광화문 인근에 자리 잡고 있는데 외교부가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문제도 광화문 이전의 걸림돌로 들었다. 윤 당선인은 ‘광화문 대신 용산’으로 바뀐 집무실 장소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구중궁궐’ 청와대를 나와 국민 속으로 들어오려는 취지를 평가해달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에도 불구하고 결국 ‘광화문 시대’ 공약에 대한 준비 부실과 반쪽 이행에 대한 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이 이날 언급한 전파 방해, 지하 벙커, 비용 문제는 이미 대선 후보 시절부터 제기됐던 문제이기 때문이다. 윤 당선인 측이 지난 18일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충분한 컨센서스 도출’을 강조해놓고 이틀 만에 ‘용산 이전’을 발표한 것을 두고도 ‘소통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 ‘광화문에서 용산으로 바꾸는 과정에 풍수지리·무속이 개입됐다’는 얘기도 나왔다. 이와 관련한 질문에 윤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도 나왔지만 무속은 뭐 민주당이 더 관심이 많은 것 같은데”라며 헛웃음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면서 “용산 문제는 처음부터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고 공약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대안으로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조의준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