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을 발표한 가운데, “국방부의 강압적인 이전을 결사반대한다”는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 인원이 20만 명을 돌파했다.
21일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 따르면 ‘윤석열 당선인 집무실 만들고자, 국가 안전 중추인 국방부를 강압 이전하여, 국민의 혈세 수천억을 날리는 것을 막아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청원이 이날 낮 12시 기준 30만 1463명의 동의를 받았다. 지난 17일 게시된 지 나흘 만이다.
청원인은 “윤석열 당선인이 자기만족을 위해서 본인 집무실을 만들겠다고, 국가 안전의 최후 보루이자 중추로서 최적화되어있는 국방부의 전문 시설과 시스템을 옮기려 한다”며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청원인은 이것이 “대한민국 국가 안보에 위해가 되며, 국가 세금의 어마어마한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대한민국 국회에서 국방부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이전이 허락되지 않도록, 막아주시기를 엄중히 청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 임기는 기껏해야 5년인데, 그 5년을 위해 수십 년 이어온 국방부 시설과 공간을 차지하겠다고 하는 윤 당선인의 요구는 억지스럽다”며 “여기에 국민의 피와 땀인 혈세를 수천억 원을 쓰겠다는 것을 절대 동의할 수 없고 결사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선인은 비어있는 건물을 찾든지, 청와대 내 시설을 개조하든지 국민의 삶에 직접적인 피해가 안 되는 방식을 찾길 바란다”며 “오만한 결정을 당장 멈추라”고 촉구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당선인은 지난 20일 45분간의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국방부 이전의 당위성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이전을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 아니냐’는 취재진 질문에 “이렇게 결단하지 않으면 제왕적 대통령제에서 벗어나기 힘들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 등 일각에서 주장하는 풍수지리, 무속 의혹에 대해서는 “(용산은) 지하벙커가 있고, 비상시 NSC(국가안전보장회의)를 바로 할 수 있다. 광화문 청사는 그게 안 된다. 광화문에 가게 되면 청와대 100% 개방도 불가능하다. 외교부 청사 이전도 어렵고, 전자기기 사용에 지장이 발생할 경우 (주변) 기업이나 금융기관에 상당한 피해가 갈 수 있다. 광화문 이전은 시민에게는 거의 재앙 수준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반박했다.
집무실을 국방부로 옮기는 데 필요한 ‘이전비용’은 496억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대통령실ㆍ경호실 이전과 리모델링에 352억 3100만 원, 대통령 관저가 될 서울 용산구 한남동 공관 리모델링에 25억 원, 국방부 이전과 리모델링 비용에 118억 3500만 원 등을 합친 비용이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21일 브리핑에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검토를 거쳐 내일 국무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2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의 모습.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이 날 기자회견을 갖고 대통령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이날 윤 당선인은 청와대 집무실 이전으로 인한 합동참모본부 이전 비용 등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내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가 지난 20일 국민의힘 소속 국회 국방위원들에게 설명한 내용에 따르면, 합참 이전 비용은 약 1000억 원이다. TF 관계자들은 “당장 (대통령 취임 전에) 드는 비용은 아니고, 단계적으로 이전하면서 드는 비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청와대는 20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은 청원에 공식 답변을 내놨던 바 있어 이번 청원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하수영 기자 ha.suyou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