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법의 심판대 오른 MB

MB 때처럼 인수위 출신 장관 늘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윤석열 인수위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책임장관제와 대통령집무실 인원 30% 축소 등을 공약함에 따라 인수위원들의 장관행이 여느 때보다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박근혜정부 때 인수위원 상당수가 대통령비서실(청와대)로 향한 것과 대비되는 행보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24명의 인수위원이 있었던 이명박·박근혜정부에서 인수위원의 장관행은 각각 9명과 2명이 있었다. 인수위 대신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운영했던 문재인정부에선 인수위원 격인 자문위원 30명 중 6명이 장관이 됐다. 인수위원의 장관 임명률을 계산해보면 이명박정부가 37%, 박근혜정부가 8%, 그리고 문재인정부가 20%였다.

윤 당선인은 민정수석직을 없애는 등 대통령비서실 조직을 최대한 줄이는 안을 검토 중이다. 일각에선 8개 수석비서관직 중 절반가량이 없어질 거란 이야기도 나온다. 인수위 관계자는 "청와대개혁 TF팀에서 향후 대통령비서실을 어떻게 운영할지 논의할 것"이라며 "청와대의 권한을 조금 더 내려놓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비서실 자리가 줄어드는만큼, 박근혜 정부처럼 청와대로 인수위원이 대거 옮기는 일을 없을 전망이다.

이에 이명박 정부 때처럼 책임장관이 되는 인수위원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3명 중 1명이라면 8명 가량이 장관 후보다. 외교부 2차관 출신인 김성한 위원(외교안보분과), 기재부1차관 출신인 최상목 위원(경제1분과), 교과부2차관 출신인 김창경 위원(과학기술교육분과) 등 3명이 장관 유력후보로 꼽힌다. 아울러 정치인 출신인 신용현 대변인, 추경호·이태규·이용호·유상범 위원 등도 장관 후보자로 꼽힌다.

이명박 정부땐 강만수·박재완 기재부장관, 맹형규·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 등 굵직굵직한 장관들이 인수위 출신이었다. 반면 박근혜 정부 땐 윤병세 외교부장관, 서승환 국토교통부장관만이 인수위원 출신이다. 강석훈·안종범 경제수석,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등이 청와대행을 택한 인사다. 박근혜 정부땐 인수위원 24명 중 9명이 대통령비서실로 자리를 옮겼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