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0 (금)

이슈 19대 대통령, 문재인

신평 “김정숙 사치 의혹, 文 해명 필요…김어준 뒤로 숨지말길”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신평 변호사.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대선국면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던 신평 변호사는 영부인 김정숙 여사의 ‘명품 사치 논란’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 부부의 솔직한 해명이 필요한 때”라고 했다.

신 변호사는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며칠 전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씨의 과도한 사치를 나무라는 글을 포스팅했는데, 이것이 뜻밖에도 세간의 화제가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후 저쪽의 열렬한 지지자들이 나에 대한 공격에 나섰다. 나나 내 가족의 안전을 위협하는 섬뜩한 내용도 있다”며 “조국 전 장관의 사퇴를 요구했을 때를 비롯하여 몇 번 그들의 비위를 상하는 글을 내어 모질게 당한 경험이 있으나 이번의 강도가 워낙 세서 새삼스럽다”고 했다.

신 변호사는 “애초에 왜 이런 일이 생겼느냐 하는 점에 관해 제발 그들이 살펴보기를 바란다”며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 들어가서 개인 식비나 치약 대금도 월급에서 차감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럼에도 김 여사의 과도한 사치로 보이는 점을 지적하며 그 정보의 공개를 요구하는 납세자연맹의 정보공개청구에 대해 그 비용의 지출이 ‘국가기밀’이라며 거부했다”고 했다.

이어 “서울행정법원이 청와대 측의 주장을 물리치고 정보공개를 판결로 명하였다. 그러나 다시 청와대 측은 판결에 불복하고 항소를 하고 이에 관한 자료를 대통령기록물에 넣어 적어도 15년간 비공개로 하려는 꼼수를 부렸다”고 했다.

그는 “물론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브로치 한 개가 항간에서 주장하는 대로 2억원 정도가 아니라 모조품으로 10만 원 정도에 불과할는지 모른다. 그리고 다른 의상들이나 장신구도 과다하게 부풀려 공격을 받았는지도 모른다”며 “그러면 문 대통령 부부는 깨끗하게 이 의혹을 청와대 특활비 사용내역 공개로 밝히면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설사 그 비용이 조금 선을 넘는다 해도 5년 동안에 수억 원 정도에 그친다면, 국민은 치약 대금까지 개인적 지출을 하겠다고 한 공언을 지키지는 못했을망정 약간의 불만은 있지만 너그럽게 수용하지 않을까 한다”고 했다.

신 변호사는 “문 대통령은 지난 5년간 조금 곤란한 사정이 생기면 뒤로 숨었다. 언제나 그랬다”고 말했다. 그는 방송인 김어준씨와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을 언급하며 “그 공백을 김어준 같은 정권의 프러봐커투어(provocateur‧선동가)들의 선전선동이나 탁현민의 현란한 정치쇼로 대신해왔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그러지 마시고 정정당당하게, 솔직하고 겸허하게, 이미 국민적 의혹이 돼버린 이 사건에 관하여 해명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신 변호사는 지난 26일 페이스북을 통해 청와대 특수활동비와 김 여사의 의전 비용 미공개를 비판한 바 있다.

그는 “또 하나의 ‘내로남불’이 부상했다. 김 여사가 청와대 특수활동비를 사용하여 남편의 임기 내내 과도한 사치를 했다고 한다”며 “형형색색의 옷값은 어쩌면 별것 아닌 모양이다. 브로치나 핸드백 같은 액세서리 장신구 대금이 상상을 넘는다고 한다. 겉으로는 ‘서민 코스프레’에 열중하면서, 집으로 들어와서는 문을 닫아걸고 이런 부끄러운 짓을 일상적으로 했다. 어쩌면 이렇게도 한 조각 염치조차 없을까”라고 했다.

이어 “현행법은 공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돈은 사용되면 환수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건이 남은 경우 반드시 반환해야 한다. 국립대학 교수가 연구비를 받아 구입한 프린터 한 대나 개인적 필요로 주문한 책 한 권도 그가 퇴직을 할 때에는 어떤 예외 없이 반환한다. 그렇지 않으면 행정절차에 묶여 꼼짝달싹도 할 수 없게 궁지에 빠진다”며 “두 분은 제발 마지막 남은 양심을 지켜, 그리고 현행법을 지키는 최소한의 공공심을 발휘하여 김 여사가 구입한 사치물품을 반환해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가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