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인도 하늘서 뚝 떨어진 중국 우주쓰레기…불뿜는 추락체 (영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인도 ANI통신과 AFP통신 등은 2일(현지시간) 중국 로켓 잔해가 인도로 추락했다고 보도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2일(이하 현지시간) 밤, 주홍빛 유성우가 인도 하늘을 갈랐다. 엄청난 빛을 내뿜으며 떨어진 유성우는 마하라슈트라주 전역에서 관측됐다. 마하라슈트라주 나시크시 한 주민은 현지매체에 “밤 8시쯤 하늘에서 유성을 봤다. 유성우는 네 갈래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모두가 유성우인 줄로만 알았던 추락체는 그러나 중국 우주 쓰레기였다. 인도 ANI통신과 AFP통신 등은 이날 중국 로켓 잔해가 인도로 추락했다고 보도했다.

실제 유성우가 추락한 지점에서는 거대 로켓 잔해가 발견됐다. 마하라슈트라주 찬드라푸르시 신데와히(9.6E 20.3N)에서는 로켓 연결 링으로 추정되는 직경 3m, 무게 40㎏짜리 잔해가 수거되기도 했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3일(현지시간)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찬드라푸르시 신데와히(9.6E 20.3N)에서 로켓 엔진 연결 링으로 추정되는 직경 3m, 무게 40㎏짜리 잔해가 수거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조너선 맥도웰 박사는 이 잔해들이 1년 전 중국 쓰촨성 시창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된 통신위성의 운반로켓 잔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 4일 중국 국방부는 중국만리장성산업공사(CGWIC) 통신기술시험위성 TJSW-6을 쏘아올렸다. 이번에 인도로 추락한 우주쓰레기는 이 위성을 싣고 우주로 간 운반로켓 창정-3B(CZ-3B) 잔해로 밝혀졌다.
서울신문

이번에 인도로 추락한 우주쓰레기는 이 위성을 싣고 우주로 간 운반로켓 창정-3B(CZ-3B) 잔해(빨간 동그라미 부분)로 밝혀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맥도웰 박사는 “운반로켓은 발사 이후 근지점 고도 150km, 원지점 고도 3만 4440㎞ 타원궤도에 머물렀다. 하지만 근지점을 통과할 때마다 대기항력에 부딪혀 서서히 에너지를 잃었고, 마지막 주기에서 원지점까지 오르지 못하고 결국 궤도를 이탈했다”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맥도웰 박사는 “운반로켓은 발사 이후 근지점 고도 150㎞, 원지점 고도 3만 4440㎞ 타원궤도에 머물렀다. 하지만 근지점을 통과할 때마다 대기항력에 부딪혀 서서히 에너지를 잃었고, 마지막 주기에서 원지점까지 오르지 못하고 이탈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로켓이 2일쯤엔 어디론가 떨어질 거란 걸 알고 있었다. 그러나 대기권 재진입 시기와 장소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덧붙였다.
서울신문

지구 주변에는 폐기된 위성이나 부서진 잔해 등에서 나온 1㎜~1㎝ 크기의 우주 쓰레기 1억 2800만개가 총알보다 10배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며 우주비행사와 위성을 위협하고 있다. 추적할 수 없는 1~10㎝의 작은 물체도 약 90만개에 달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구 주변에는 폐기된 위성이나 부서진 잔해 등에서 나온 1㎜~1㎝ 크기의 우주 쓰레기 1억 2800만개가 총알보다 10배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며 우주비행사와 위성을 위협하고 있다. 추적할 수 없는 1~10㎝의 작은 물체도 약 90만개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폐기된 위성이나 로켓 잔해는 계속 지구 주위를 돌거나 외딴 바다로 떨어진다. 하지만 이번처럼 사람의 통제권을 벗어난 로켓 잔해의 재진입은 정확한 추락 시기와 지점을 예측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행히 잔해 대부분이 대기권에서 소멸해 아직 우주쓰레기 추락으로 인한 사상자는 없다. 지난해 5월 세계를 공포를 떨게 한 무게 20t짜리 중국 우주발사체 창정-5B호도 최종적으로 인도 남서쪽 인도양에 추락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