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반군부 인사 사형' 방침에 캄보디아 훈센 "중단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흘라잉 총사령관에 서한 보내 재고 요청

유엔 등 국제사회 비난 잇따라…"공포 조장하려는 사악한 시도"

연합뉴스

지난 1월 미얀마를 방문한 훈센 캄보디아 총리와 인사하는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김범수 특파원 = 미얀마 군사정부가 반대세력 인사들에 대해 사형을 집행하겠다고 발표하자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의장인 훈센 캄보디아 총리가 반대 입장을 밝혔다.

12일 AP통신에 따르면 훈센 총리는 전날 미얀마 군정 지도자인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에게 이같은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훈센은 서한에서 "흘라잉 총사령관과 군정 최고기구인 국가행정평의회(SAC)가 반정부 인사에 대한 사형 집행을 재고해 중단하기를 진지하게 요청한다"고 밝혔다.

앞서 미얀마 군정은 반군부 진영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소속 표 제야 또(41) 전 의원과 시민 활동가 초 민 유(53)에 대해 반테러법 위반 혐의로 선고된 사형 집행을 승인했다고 지난 3일 발표했다.

조 민 툰 군정 대변인은 "법원이 피의자들의 항소 및 감형 신청을 기각했기 때문에 더이상 남은 절차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또 군정에 정보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한 여성을 살해한 두 명의 남성도 사형이 집행될 거라면서 사형 집행 날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미얀마는 지난 1990년 이후로 사형을 집행한 사례가 없으며 캄보디아는 1989년 개헌을 통해 사형제도를 폐지했다.

연합뉴스

사형 선고를 받은 초 민 유(왼쪽)와 표 제야 또(오른쪽)
[이라와디 사이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올해 아세안 순회 의장을 맡은 훈센 총리의 이같은 입장 표명은 미얀마 군정의 반군부 인사에 대한 사형 방침 공표 직후 잇따르고 있는 유엔 등 국제사회의 반발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유엔의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인 토마스 앤드루스는 전날 성명을 내고 "불법으로 권력을 차지한 군부가 인권 침해의 또 다른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면서 "시민들 사이에서 공포를 조장하기 위한 사악한 시도"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앞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번 사안과 관련해 "군정이 개인의 생명과 자유 및 안전에 대한 권리를 침해했다"고 지적했다.

인권단체인 국제앰네스티도 "사형 집행을 철회하라"고 요구하면서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개입을 촉구했다.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연합(AAPP)에 따르면 작년 2월 미얀마 군부 쿠데타 발생 이후 군경의 무력진압 및 고문 등으로 인해 1천900여명의 시민이 숨졌고 1만4천여명이 체포됐다.

또 정치인과 시민 활동가 등 114명이 사형선고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bumso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