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서해 공무원 피격’ 월북 판단한 해경 간부들 일괄 대기발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감사원, 포렌식 착수

세계일보

2020년 9월 29일 윤성현 당시 해양경찰청 수사정보국장이 인천시 연수구 해양경찰청 회의실에서 연평도 실종공무원 중간 수사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당시 피해자인 이대준씨에게 자진 월북 판단을 내렸던 당시 해경 수사 책임자들이 7일자로 일괄 대기 발령됐다.

감사원이 해경 간부 4명에 대해 본격적으로 임의 조사에 착수한데 따른 인사조치다.

이번 감사 대상은 사건 당시 본청 수사정보국장이었던 윤성현 남해지방해경청장(치안감), 본청 형사과장이었던 김태균 울산해경서장(총경), 본청 정보과장이었던 강성기 동해지방해경청장(치안감), 인천해경서 수사과장이었던 옥현진 본청 외사과장(총경) 등이다.

감사원은 당사자들의 동의를 받아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컴퓨터 하드디스크 복제 작업을 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건 직후 해경 내부뿐 아니라 청와대, 국방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와 주고 받은 이메일, 공문 등 일체 자료를 복원해 당시 수사 과정이 적절했는지 따져보려는 것이다.

감사 대상 중 윤성현·강성기 치안감은 지난달 24일 책임을 통감한다며 사의를 표명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즉시 언론 공지를 통해 현재 감사원 감사 등 진상 규명 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일괄 사의는 반려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윤 치안감과 김태균 총경은 고인의 형인 이래진씨에 의해 공무집행방해·직권남용·허위공문서작성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상태기도 하다. 이씨는 옥현진 총경 등에 대해서도 추가 고발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특히 이번 감사원 조사를 통해 최근 고발당한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서주석 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 등의 해경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시 여부가 드러날지도 관심사다.

앞서 해경은 지난 2019년 9월 발생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 고인이 자진 월북을 시도하다 북한군에 의해 사살됐다는 내용의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후 2년여 만인 지난달 16일 월북 의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뒤늦게 입장을 번복해 논란을 일으킨바 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