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이재정 前 경기교육감, 등교시간 자율화 비판…“아이들에게 미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이재정 전 경기도교육감. 경기도교육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지역 학교에 ‘9시 등교제’를 도입한 진보 성향의 이재정 전 경기도교육감이 새 교육감의 등교 시간 자율화 추진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 전 교육감은 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8년 전 학생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9시 등교를 결행한 당시 저의 결정은 정말 잘못이었을까요”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최근 등교 시간 자율화를 주문한 임태희 현 교육감의 정책을 반박한 것이다.

이 전 교육감은 “지난 8년간 여유롭게 9시 등교하던 아이들도 0교시 수업을 위해 또다시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서야 할 것 같아 안타깝고 미안하기만 하다”며 “도교육청을 떠난 지도 벌써 1주일이 지났다. 이 어려운 때에 고생하고 고민하는 많은 사람에게 미안한 마음도 한가득”이라고 소회를 전했다.

이 전 교육감은 2014년 9월 교육감 재직 당시 9시 등교제를 도입했다. 지난해 3월 기준 도내 초·중·고교 2466곳 중 2436곳(98.8%)이 이를 시행 중이다.

임 교육감은 이를 두고 ‘강제 시행’으로 규정하며 학교와 학부모, 학생의 결정에 따라 등교 시간을 자율화하겠다고 말했다. 등교 시간 자율화와 관련한 세간의 비판과 관련해선 “0교시 부활에 방과 후 학습, 야간자율학습 등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 학생과 학부모, 교사가 ‘우리 학교는 공부를 좀 더 하자’고 자율적으로 협의하면 (0교시 부활을) 억지로 금지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지난 1일 취임 직후 도내 초·중·고교에 학생 등교 시간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지방선거 당시 핵심 공약으로, 취임 후 결정한 1호 정책이기도 하다.

이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강제 아침 자습, 0교시 부활 등이 예견된다”며 등교 시간 자율화 정책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