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이슈 초유의 현직 당대표 징계

'이준석 징계' 與 격랑 속으로…비대위냐, 조기전대냐 '당권 경쟁' 신호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李 '버티기' vs 친윤 '사퇴 압박' 전면전

李 궐위로 '당권 경쟁' 급물살…비대위·임시전대·조기전대 '저울질'

뉴스1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성 상납 증거인멸교사 의혹에 대한 윤리위원회에 출석하며 입장을 말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7.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노선웅 기자 =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8일 당 윤리위원회로부터 '당원권 정지' 6개월 처분을 받으면서 여권 내 권력 지형이 분수령을 맞게 됐다. 이 대표는 당 대표직을 사수하기 위한 '버티기' 전략에, 당내 친윤(친윤석열)계는 '이준석 배제'를 전제한 새 지도부 구성 작업에 각각 나서면서, 국민의힘은 전보다 더 극심한 내홍에 휩싸일 전망이다.

이 대표는 성접대 및 증거인멸교사 의혹을 전면 부인해온 만큼 즉각 재심 청구 또는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 등 불복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징계 효력이 끝난다면 잔여임기를 채우기 위해 복귀하는 방안도 고려하는 분위기다. 반면 친윤계는 이 대표의 거취를 압박하는 동시에 '권성동 대행 체제', '비대위 체제', '조기 전당대회' 등 시나리오를 검토하며 차기 당권 경쟁의 불씨를 댕길 것으로 관측된다.

◇李 '당원권 정지 6개월'…버티기 vs 사퇴 압박 '전면전'

윤리위는 지난 7일 오후 국회에서 4차 전체회의를 열어 다음날(8일) 새벽까지 심의를 이어간 끝에 이 대표에 대해 '당원권 정지 6개월'을,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에 대해서는 '당원권 정지 2년'을 각각 의결했다. 사상 초유의 '현직 당대표 징계'가 벌어진 것이다. 당장 당은 권성동 원내대표 대행 체제(권한대행)로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원권 정지'는 이 대표에게 가장 난감한 결과였다. 당원권이 정지된다고 곧장 당대표직을 내려놔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한에 따라 '대표직 박탈'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당원권 정지는 최소 1개월, 최장 3년인데 이 대표의 임기는 7월 기준 11개월 남았다. 이번 징계로 이 대표는 내년 1월 초까지 대표로서 직무 수행이 어렵다.

이 대표는 '결백'을 주장해온 만큼 즉각 윤리위에 재심을 청구할 것으로 보인다. 또는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해 법정 공방으로 전선을 넓힐 가능성도 있다. 재심 결과가 나오기까지 2~3개월간 '버티기'에 들어가 여론전을 계속하거나,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 '역공'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다만 전례 없는 '사퇴 압박'을 감당해야 한다. 윤리위가 성접대 증거인멸교사 의혹의 신빙성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이 대표는 정치적 리더십에 치명타를 입게 됐다. 당내 친윤계는 윤리위 징계안을 고리로 이 대표의 '거취 결단'을 전방위로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지도부 총사퇴' 가능성도 거론된다. 최근 이 대표와 충돌을 이어가며 '최고위 보이콧' 중인 배현진 최고위원을 비롯한 친윤계 최고위원들이 일괄적으로 지도부에서 물러남으로써 이 대표의 '자진 사퇴'를 압박하는 그림이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 대표가 순순히 물러날 성격은 아니지만, 계속 버틸 수 있는 환경도 아니다"라며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가 계속 하락세이고, 경제와 민생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서 자기 정치를 이어간다면 그 혼란의 책임을 오롯이 져야 한다는 것을 고심할 것"이라고 했다.

뉴스1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오른쪽)와 배현진 최고위원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6.2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권 경쟁' 급물살…비대위·임시전대·조기전대 '저울질'

국민의힘은 본격적인 '당권 경쟁' 정국에 돌입할 전망이다. 권 원내대표의 당대표 대행 체제를 기본으로 하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조기 전당대회 진행 등이 거론된다. 전당대회 개최 시점에 따른 이해득실에 따라 당권주자 간 신경전도 가열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권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임시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방안이다. 당헌에는 당대표가 임기를 6개월 이상 남기고 궐위하면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잔여 임기를 수행하는 대표를 뽑게 돼 있다. 이 대표의 임기는 내년 6월까지로, 이렇게 되면 새 당대표는 2년 뒤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임시 전당대회는 권 원내대표에게는 유리한 시나리오다. 잠재적 당권주자로 분류되는 권 원내대표 입장에서는 내년 6월에 전당대회가 열리면 당권에 도전할 수 있다. 다만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전당대회를 두 번 열어야 한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내년 초에 전당대회를 열어 신임 당대표를 선출하는 방안도 있다. 이 경우 새 당대표는 2024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집권 초기인 데다,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집권여당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많다.

당내에서는 당헌·당규 개정을 통한 '조기 전당대회'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린다.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당헌·당규를 개정하면 임시 전당대회나 비대위 체제 없이 곧바로 임기 2년의 신임 당대표를 선출할 수 있다. 새로 뽑힌 당대표는 차기 총선 공천권을 쥘 수 있어 당권주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안이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헌은 헌법이 아니기 때문에 전국위를 열고 '당대표가 임기 6개월 이상 남기고 궐위하면 임시 전당대회를 연다'는 조항을 삭제하면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할 수 있다"며 "당내 혼란을 가장 신속하게 정리하고 국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했다.
dongchoi89@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