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세종 간 與 지도부 "대통령 집무실 공약 지킨다"..'공약 파기' 논란에 쐐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약 파기' 논란에 설립 의지 재확인
"세종의사당·세종집무실 충청에 획기적 발전"
원희룡 장관 "2027년까지 설치 약속"


파이낸셜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일 오전 세종시 세종동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부지 현장을 방문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국민의힘 지도부가 3일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 부지를 방문해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국정과제로 채택됐던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가 당·정·대통령실간 엇박자로 '공약 파기' 논란에 휩싸였지만 이를 일축, 충청 민심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성일종 정책위의장, 양금희 원내대변인과 함께 세종시 세종동 소재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를 둘러봤다.

권 원내대표는 현장 발언에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두 가지가 건립되면 세종시는 물론이고 충청도에 획기적인 발전을 갖고 올 것"이라며 공약 이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는 지난달 13일 행정안전부가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 대통령 임시 집무실 설치를 하지 않기로 하면서 약속 파기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지난 4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대통령 제2집무실과 관련해 '△청사 1동 국무회의장 우선 활용 △세종청사 중앙동에 임시 집무실 설치 △2027년 국회 세종의사당 개원에 맞춰 세종 집무실 건립' 등 3단계의 로드맵을 발표했었다. 하지만 행안위가 '2단계'를 생략하는 듯한 발표를 내놓자, 야당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강한 반발이 나온 것이다. 지난달 한 시민단체는 "용산집무실은 대통령 공약도 아니었는데 세종집무실은 대통령 공약으로 인수위에서 로드맵까지 발표했다"면서 "예산 때문에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전형적인 이중잣대이고 정치적 궤변의 극치"라고 비판했었다.

권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 '야권의 정체공세'라고 받아쳤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이 우리 진의를 왜곡해 우리 당이 세종 집무실 설치 계획을 철회·취소했다고 호도하면서 악의적으로 정치공세를 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세종 집무실 설치, 의사당 설치를 대통령이 약속했기 때문에 우리 당과 윤석열 정부는 반드시 지키겠다는 약속의 말씀을 세종시민과 충청도민에게 다시 한번 드린다"고 쐐기를 박았다.

'로드맵 2단계 생략'에 대해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함께 논의해서 1∼3단계 중 2단계인 '세종청사 중앙동 임시 집무실 설치'를 민생 경제 위기에 150억원 예산을 절감하는 게 낫겠다고 해서 생략하고 3단계로 바로 넘어가는 걸로 당과 정부가 합의를 봤다"고 해명했다. 구체적인 청사진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이날 현장 방문에는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법안을 발의한 정진석 국회부의장과 원희룡 국토부 장관, 최민호 세종시장, 이상래 행정복합도시건설청장 등이 동행했다.

원 장관도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에 속도를 내겠다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원 장관은 "세종의사당을 앞으로 세계적인, 대표적인 민주주의의 전당이 될 수 있게끔 2027년 이전까지 잘 짓겠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에 대해서도 국토부, 행안부, 행복도시청에서 권 대행과 대통령 당부 사항을 받아서 구체적인 진행 계획과 실행 착수 조치를 발표하기 위해 준비해놓고 있다"며 "완비 되는대로 빠른 시간 내 국민께 약속드리겠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