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8 (토)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AI 등 디지털 혁신 기술로 국민안전 지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주재하는 한덕수 국무총리 힌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5세대(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 등 디지털혁신 기술을 접목해 끼임사고와 같은 산업현장 재해, 생활사고, 홍수 등으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킨다. 일부 사업은 당장 올해부터 실증사업에 들어가서 총 2000억~25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디지털 혁신에 대한 국민 체감을 높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디지털 기반 국민안전 강화방안'을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보고했다.

일터·생활·재난 등 3대 안전을 위해 디지털 혁신기술이 적용된다. 일터 안전과 관련, 디지털 기술로 중대재해를 예방한다. 과기정통부는 '초저지연 이음5G(특화망) 안전서비스'를 안산 반월공단에 적용했다. 끼임사고, 충돌 등 위험성 큰 물류 현장에서 5G 저지연 성능을 활용해 안전을 높이고, 원격화 등을 실증한다.

건설 현장에서는 영상센서와 온도·강도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을 활용해 붕괴·고립 위험 등을 분석하는 '디지털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을 실증한다. 콜센터 상담원 등 감정노동자의 정신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치료제'도 개발, 확산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남동·반월·시화 등 중소기업 고밀집산단을 특별안전구역(Saftey Zone)으로 지정해서 재난안전 폐쇄회로(CC)TV, 유해물질 감지센서 등의 디지털 안전장비를 배치하고 밀폐공간·해상안전과 관련한 인프라를 디지털화한다.

도시·생활 안전 분야에서는 실내화재, 스토킹 범죄와 관련한 '실내긴급상황 구조 골든타임 확보체계'를 구축한다. GPS 위치 추적이 불가능한 실내 긴급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기지국,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환자·노인 등 '생체 이상 상황 감지를 위해 70㎓ 대역의 레이더 주파수를 공급하는 한편 초광대역주파수(UWB)와 GPS를 연계, 비상시 치매노인·아동의 위치 추적을 가능케 하고 지능형 CCTV를 고도화한다.

재난 분야에서는 과기정통부와 환경부가 협업해 하천 범람, 도시 침수 등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기술로 홍수피해를 예측한다. AI를 활용해 방류·대피 등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체계적 대비 체계를 5대강 중심으로 전국에 확산할 계획이다. 물 관리, 도시 침수 안전, 산불 예방 등 전반에 걸쳐 AI·빅데이터 및 지능형 모니터링 체계를 도입한다. 발전소 등 국가 중요 기반시설에 대해서도 순찰드론·로봇 등을 활용해 화재와 테러 등을 예방하는 AI 관리체계를 구현할 예정이다. 통신 분야에서는 각종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기반 통제체계, 통신사 상호백업 등도 추진한다.

정부는 디지털안전기술에 대한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고 표준화, 규제개선 과제 등을 논의하는 민관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산단 5G 특화망 적용, 긴급조난 SOS 등 일부 사업은 올해부터 본격 실증을 진행하는 등 중장기로드맵을 바탕으로 2027년까지 사업을 완수, 디지털기술이 국민안전 분야로 확산할 것으로 기대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디지털 기반 국민안전 강화 방안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