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안 팔겠다”…탄력요금제 희망 봤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직원 거센 반대 2달 만에 ‘상생안’ 수용

규제완화 분위기·수익화 가능성 고려한 듯


한겨레

서울 시내를 운행 중인 카카오 택시.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가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 추진을 중단하기로 했다. 카카오노동조합(크루유니온) 등 직원들의 반발과 “플랫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회피” 비판이 거세지자 두 달여만에 “매각 검토” 입장을 철회했다. 윤석열 정부의 모빌리티 산업 규제 완화 분위기도 철회 배경으로 꼽힌다. 카카오 노조는 “카카오의 모빌리티 지분 매각 중단 결정을 환영한다”며 “카카오모빌리티의 성장과 상생을 위해 회사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공동체센터)는 “카카오모빌리티 협의체가 도출한 방향성을 존중해 주주구성 변경 검토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6월 중순 기업금융(IB) 업계에서 ‘카카오가 사모펀드 엠비케이(MBK)파트너스에 모빌리티 지분 매각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2달여만이다. 공동체센터는 카카오 계열사들을 관리하는 본사 조직으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결정권을 갖고 있다.

카카오의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설은 지난해 분사 5년 만에 첫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불거졌다. 해마다 매출이 2배 이상 증가하는 중에도 영업이익은 200억원 안팎씩 적자를 내왔는데, 지난해에는 5465억원의 매출을 올려 126억원의 영업이익 흑자를 냈다. 기업상장(IPO)의 길이 막힌 상황에서 지분 매각으로 투자금을 회수할 적기라는 전망이 나왔다.

카카오는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57.5% 중 15% 가량에 티피지(TPG)컨소시엄·칼라일그룹 소유 지분 35.2%를 더한 과반 이상의 지분을 엠비케이에 넘기는 방식으로 2대주주로 내려오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배경으로는 ‘골목상권 침해 논란과 ‘자사 택시 콜 몰아주기’ 등 비판이 거세지면서 사업 확장성에 제한이 있고 기업 이미지 타격도 크다’는 게 거론됐다.

카카오모빌리티 직원들은 모회사의 일방적인 지분 매각 추진에 반대해 임직원 80% 이상이 노조에 가입하고, 매각 반대 서명운동 등도 벌였다. 사모펀드가 1대주주가 되면 이윤 추구를 우선해, 노동자 해고와 처우 악화 문제 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한겨레

지난달 11일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카카오모빌리티 투기자본 엠비케이(MBK) 매각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재현 카카오 최고투자책임자(CIO) 등 카카오 경영진이 노조와 6월 말과 7월 초 두차례 협의를 진행했지만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논란 초기 카카오 경영진 쪽은, 플랫폼 기업의 사업 확장에 대한 비판 여론과 기업공개(IPO)가 막혀 성장이 제한된 상황에서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것이라는 점을 들어, 직원들의 반대와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직원들의 반대와 반발이 거세자, 카카오모빌리티 노사는 이달 초 ‘공동 협의체’를 구성해 매각 관련 입장과 사업 운영에 대한 발전 계획(상생안) 등을 논의했다. 최근엔 카카오에 매각 반대 입장과 함께 ‘혁신과 성장, 동반과 공유’라는 과제를 바탕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룬다는 내용의 상생안을 전달한 바 있다.

결국 공동체센터가 협의체의 상생안을 수용하고 지분 매각 검토를 중단하면서 두 달 가량 이어져온 논란은 일단락됐다. 카카오 노조는 모회사 쪽의 모빌리티 지분 매각 검토 중단 결정 뒤 “카카오 공동체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끌어낸 매각 철회 결정을 환영한다”며 “구성원과 회사를 잇는 공식 창구로써 회사 성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업계에선 윤석열 정부 들어 확산되는, 모빌리티 시장에 대한 규제 완화 분위기가 매각 검토 중단의 배경이 됐다는 해석도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꾸리는 한편, 특정 시간대 택시 난을 해소하기 위해 탄력요금제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려다 비판을 받았던 탄력요금제 적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익명을 요청한 모빌리티 업계 관계자는 “직원 의견을 중시하는 카카오 특성상 직원 대부분이 반대하는 매각을 추진하기엔 부담이 컸을 것”이라며 “카카오 쪽은 이번 모빌리티 지분 매각 논란을 겪는 과정에서 성장 한계에 처한 회사 내부 상황이 공유돼, 향후 수익화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혹시 직원들과 갈등을 겪을 수도 있는)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한겨레>기자들이 직접 보내는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동물 사랑? 애니멀피플을 빼놓곤 말할 수 없죠▶▶주말에도 당신과 함께, 한겨레 S-레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