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인터넷은행, ‘중·저신용자 대출’ 늘었지만 성장성은 ‘글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연내 금융당국과 약속한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 달성을 코앞에 뒀다. 기준금리 인상 속 대출 비중이 올해 2분기에만 최대 5%포인트(p) 가까이 늘어나면서다. 그러나 이들 은행은 올 하반기 투자심리 악화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장이라는 또 다른 과제에 부딪혔다.

29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의 6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2.2% ▲케이뱅크 24.0% ▲토스뱅크 36.3%다. 이는 지난 3월 말과 비교하면, 3개월 사이 ▲카카오뱅크 2.3%포인트 ▲케이뱅크 3.8%포인트 ▲토스뱅크 4.9%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중·저신용자 신용 대출 비중은 각 인터넷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에서 개인신용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KCB 850점 이하) 대출자에 대한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조선비즈

서울의 한 은행 외벽에 걸린 대출 안내문의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당초 설립 취지와 달리 인터넷전문은행이 고신용층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한다고 지적하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를 주문했다. 이들 은행이 금융당국에 제출한 올해 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는 ▲카카오뱅크 25% ▲케이뱅크 25% ▲토스뱅크 42%로, 6개월 만에 이에 상당히 근접한 셈이다.

지난해만 해도 인터넷전문은행들은 당시 약속했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채우지 못했다. 3사 모두 당초 목표치보다 적게는 3.8%포인트 많게는 11%포인트 모자랐다. 이는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급등을 억제하기 위해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했던 점이 주된 원인이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0월부터 올 6월까지 고신용자 대상 대출을 중단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달라졌다. 기준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은행권 전반적으로 대출금리가 인상됐고,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간 금리 차이가 준 것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이런 상황 속 연말 중·저신용 대출 비중 목표 달성을 위해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대안정보를 활용한 신용정보모형(CSS)을 고도화하고, 심사전략을 세분화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다.

조선비즈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애플리케이션(앱). /박소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장 시급했던 중·저신용자 대출 규제로부터는 한숨 돌렸지만, 이들 은행 앞엔 더딘 성장 등 다른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대표적으로 ‘국민주’로 불리던 카카오뱅크는 최근 2만7000원대에 거래되면서 지난해 8월 상장 후 최고가(장중 9만4400원)보다 약 70%가량 하락했다.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등 규제로 인한 성장세 둔화 우려와 KB국민은행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등 주주 이탈 가능성이 잇달아 거론된 탓이다.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올 하반기 기업공개(IPO)를 앞둔 케이뱅크는 최근 주식시장 침체로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향후 일정이 안갯속에 빠졌다. 비교기업인 카카오뱅크의 주가 하락도 악재다. 지난해 10월 출범 이후 연 2% 이자의 수시입출금 통장으로 인기를 끌었던 토스뱅크는 금리가 오르면서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금융위원회가 내놓은 플랫폼 금융서비스 활성화 방안 등을 봐도 알 수 있듯이 규제 완화 정책이 전통적인 은행의 플랫폼화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시중은행과 차별화된 금융모델을 확실하게 제시하지 못하면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민하 기자(mi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