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경기도 버스노조 오늘 파업 여부 결정···협상 결렬 시 30일 첫 차부터 운행 중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26일 경기 수원시 경기도청 옆 도로에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가 주최한 총파업 출정식에 참가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내 노선버스의 90% 이상이 속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협의회)가 29일 총파업 여부를 놓고 사측과 최종 협상을 벌인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오는 30일 첫 차부터 버스 운행을 전면 중단할 방침이다.

협의회는 이날 오후 3시부터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 중재로 2차 노동쟁의 조정회의를 갖는다. 협상 시한은 이날 자정까지다.

협상에는 경기공항리무진버스, 경기상운, 경남여객, 경원여객, 남양여객 등 경기도 내 47개 버스업체 소속 노조원 1만50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버스 대수는 1만600여대(공공버스 2100여대, 민영제 노선 8500여대)로 도내 전체 노선버스의 92%를 차지한다.

참여 버스 중에선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는 광역버스도 대부분 포함돼 있다. 만약 운행이 전면 중단되면 30일 출근길 이용객들의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협의회 측은 장시간 운전 문제 해소와 저임금으로 인한 운전인력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 1일 2교대제로 전환 및 서울시 수준의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경유 상승 등을 이유로 경영상 어려움이 있어 경기도가 나서서 버스 사업의 근본적인 구조 개선을 이뤄주지 않으면 노조 측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경기도는 지난 27일 준공영제 전면 확대 추진, 시군 간 노선 도 주관으로 준공영제 전환, 전환된 준공영제 노선에 대한 재정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중재안을 내놨다. 다만 협의회는 “경기도 시내버스 전면 준공영제 시행이 누구도 담보할 수 없는 ‘시군과의 협의’라는 불확실한 확대 시행 추진안이라는 점에서 거부한다”며 중재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태희 기자 kth08@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