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만해 한용운의 시 7편, 100여 년 만에 노래로 재탄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단국대 장유정 교수, 만해 한용운 시 노래로 음원 발매
뉴시스

[용인=뉴시스]군말 노래로 만나는 만해 한용운 앨범 표지



[용인=뉴시스]신정훈 기자 = 시인이자 승려, 독립운동가였던 만해 한용운 선생의 시 일곱 편이 노래로 재탄생했다.

그간 김소월의 시가 여러 차례 노래로 만들어진 것과 달리 만해의 시가 노래로 만들어진 경우는 드문 데다 7편의 시가 노래로 재탄생한 이번 시도는 의미를 더한다.

장유정 단국대 교수는 지난 27일 한용운 선생의 시 '군말', '나룻배와 행인', '차라리', '고적한 밤', '알 수 없어요', '꿈과 근심', '길이 막혀' 등 7편의 시를 대중가요로 만들어 디지털 음원 '군말 : 노래로 만나는 만해 한용운'을 발매했다.

한용운의 시 7편을 한 번에 대중가요로 제작해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장 교수는 음원 제작을 위해 1926년 회동서관에서 간행된 만해 시집 '님의 침묵'을 원본으로 삼았다.

장 교수에 따르면 노랫말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템포가 빠르지 않은 발라드 위주의 장르를 선택했고 시적 허용으로 수용할 수 있는 표기는 두고 현대에 많이 달라진 표기만 바꿔서 노래했다.

음반 제작에는 단국대 문화예술대학원 박사과정 제자들도 함께 했다. 음반 표지는 만해의 서체를 사용했고 제작과 가창을 맡은 장유정 교수가 5곡을 작곡했다.

장어수(뮤즈와인드사운드)가 대다수 곡의 편곡과 함께 '길이 막혀'의 작곡을 맡았다. 기타와 작곡을 담당한 김규년(디에이드 대표, 구 어쿠스틱콜라보 멤버)은 '알 수 없어요'의 작곡과 편곡을 맡았다.

노래로 만든 만해의 시 일곱 편은 지난 6월 22일 충남 홍성문화원 주최로 만해 한용운 생가지에서 초연된 바 있다.

장유정 교수는 “한용운 시의 문학성을 대중들에게 알리고 그의 시가 담고있는 다양한 함의를 전달하고자 노래로 만들게 됐다”며 “대학원 제자들과 함께 제작하며 시를 노래로 만들며 의미있는 시간을 경험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발매된 음원은 멜론, 벅스, 지니, 유튜브 등 각종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들을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gs5654@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