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北 잇단 도발에 먼저 손 내민 기시다‥ 뉴욕 회담 때와는 '영 딴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대통령과 통화, '안보협력' 필요성에 일본 측이 먼저 요청

뉴스1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지난달 유엔총회 참석 계기 한일정상 간의 '약식' 정상회담 때와 달리 6일 이뤄진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간 통화는 그 성사과정 등에서 일본 측이 좀 더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35분부터 6시까지 25분간 기시다 총리와 통화했다. 핵심 주제는 최근 연이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이었다.

북한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날까지 6차례에 걸쳐 총 9발의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1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했다. 이 가운데 지난 4일 발사한 IRBM은 5년 만에 처음 일본 열도 상공을 지나 북태평양에 떨어졌고, 이날 발사한 SRBM 2발 중 1빌은 일본 혼슈(本州) 남서부 및 규슈(九州) 지역 내 주일미군기지까지 타격권에 넣었다.

북한은 현재 SRBM과 장거리 순항미사일 등을 핵 투발수단으로 개발 중인 상황이어서 그 사정권에 들어가는 일본 측으로서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주시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이와 관련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이날 통화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북한에 엄정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일 양국이 협력해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특히 두 정상은 "북한은 무모한 도발을 중단해야 하고, '도발엔 대가가 따른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해야 한다"는 데도 인식을 같이했다고 한다. 이를 위해 △한미일 3국 간 안보협력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등 국제사회와의 연대가 중요하다는 데도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공감했다.

이날 두 정상 간 통화는 일본 측 요청으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 뉴욕에서 열린 두 정상 간 회담이 일본 측 언론플레이 등의 영향으로 '우리 측의 거듭된 요청에 일본이 마지못해 응하는' 식으로 비쳤던 것과 비교하면 영 딴판이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2.10.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일본이 그만큼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우려하고 그 대응책 마련에 우리 측의 도움을 필요로 함을 방증해준다"는 게 정부 안팎의 일반적인 관측이다.

한 관계자는 "지구가 둥근 탓에 일본에선 수평선 너머 북한 내륙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미사일을 즉각적으로 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정찰위성을 운용하긴 하지만 한반도 상공에 계속 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북한이 미사일을 쐈을 땐 우리 측이 먼저 탐지·분석한 정보가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한일 양국이 2016년 11월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을 체결하는 과정에서도 이 같은 일본의 '필요'가 상당 부분 반영됐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지난달 30일엔 동해 공해상에서 한미일 3국 해상전력이 함께하는 대잠수함 훈련이, 그리고 이날 오후엔 미사일방어훈련이 각각 진행됐다. 한미일 3국 전력이 동해에서 함께 훈련을 한 건 북한의 ICBM 발사와 핵실험이 잇따랐던 2017년 이후 처음이다.

전날 우리 대통령실은 한일 정상 간 이날 통화 계획에 대해 당초 '엠바고'(보도 유예)를 요청했었으나, 일본 언론이 자국 당국자발(發)로 먼저 보도하는 바람에 곧바로 해제했다.

기시다 총리는 윤 대통령과의 통화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일 간 여러 과제가 존재하지만 북한 문제 등을 볼 때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이후 쌓아온 우호 관계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관계로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윤 대통령과의 통화에 앞서 4일 오후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도 통화했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