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尹 대통령, 기시다 총리에 '기업간 교류' 강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관계가 정상화되면 기업인 교류가 활발해질 것"… 과거사·안보 외 경제 외교도 눈길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양국 기업 간 교류 활성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미국 뉴욕에서 기시다 총리와의 만남에서 "한일관계가 정상화되면 기업인들의 교류가 활발해질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윤 대통령은 "기업인들의 교류로 비즈니스 기회가 많아지고 양국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도 말했다.

한일관계가 과거사나 안보 등에 집중돼 왔지만 경제 문제도 관심을 갖고 접근하고 있다는 것으로 읽힌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6일 기시다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도 이같은 취지의 발언을 했다.

당시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북한 미사일 도발에 엄정 대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하고 중대한 도발 행위로써 강력히 규탄했으며, 북한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일 양국이 협력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

여기에 양 정상은 한일 양국이 국제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협력해야 할 파트너라는 데 공감하고 지난달 유엔 총회를 계기로 이뤄진 회담을 포함해 양국관계에 긍정적 흐름이 있음을 평가하는 한편 관련 외교적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양 정상은 안보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현안에 대해 수시로 격의 없이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 윤 대통령은 지난 순방을 계기로 국내 기업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달 영국 런던과 미국 뉴욕에서 이뤄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만남에서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우려를 전했다. 이어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방한 때도 같은 우려를 제기했고 지난 4일 바이든 대통령의 친서를 통해 "솔직하고 열린 마음으로 협의를 지속하겠다"는 공식 답변을 받기도 했다.

이달 7일에는 용산 대통령실에서 세계 1위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인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회장을 만나 한미 투자 협력을 점검했다. 윤 대통령은 게리 디커슨 회장을 만나 "국내 반도체 산업 공급망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AMAT의 이번 투자는 한미 간 경제·산업·기술동맹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