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코로나19 백신 개발

독감 유행에 코로나도 반등 국면…2가백신 접종 확대 26일 발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간 확진자 9주만에 증가세 전환…계절요인, 새 변이 다수 확산, 재감염 증가 등 위험요인

당국, 동절기 추가접종 확대 주력…BA.5 기반 2차 개량백신도 적극 활용

뉴스1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 위원장이 1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동절기 백신접종 필요성 및 제7차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회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2.10.17/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태환 기자 = 코로나19 국내 유행 규모가 최근 반등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와 방역당국은 바이러스 서식과 전파에 유리한 겨울철 환경이 다가오는 만큼 확진자가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BA.1 변이에 대응한 2가 백신 추가접종을 적극 확대해 겨울 재유행에 대비할 방침이다.

2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가장 최근인 10월 3주(17~23일) 2만5000명대를 기록했다. 지난 10일부터 16일까지 7일간 일평균 확진자 2만1000명대보다 증가한 것이다.

이는 9주차만의 반등이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지난 8월 3주(15~21일) 12만5000명대에서 최고점을 기록한 뒤 8주간 지속 감소해 왔다.

이러한 확진자 증가 배경에는 낮아진 사회적 긴장감과 계절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바이러스의 경우 기온이 낮아지면 외부 환경에서 장시간 생존하는데 이는 감염 전파 확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더욱이 앞으로 기온이 더 낮아지면 실내 생활과 인구 밀집이 증가하고, 난방을 위해 실내 환기도 어려워져 바이러스 전파에는 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다. 현재 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도 3년 만에 유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올겨울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확진자 발생 규모는 하루 18만명대까지 기록했던 지난 6차 유행만큼까지는 아니어도 10만명 안팎의 일일 확진자까지는 나올 수 있다. 현재 유행 규모는 1주 일평균 2만5000명 수준이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모델링 예측 결과에서는 11월 초 일일 확진자 발생 규모가 최대 5만명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유행 중인 BA.5 변이에 이어 새로운 변이들이 계속 등장하면서 재감염 사례가 쏟아져 나올 수 있다는 가정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도 지난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주와 다음주가 아마 BA.5유행과 다음 유행 사이의 최저점이 되리라고 예상한다"며 'BF.7', 'BQ.1' 등 세계적으로 새롭게 등장한 변이가 새 감염자를 낳을 것으로 봤다.

재유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유행 반등 국면에 진입함에 따라 방역당국은 개량된 2가 백신을 활용한 추가접종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금은 60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1순위 대상이 지난 11일부터 오미크론 변이(BA.1)에도 대응하는 2가 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이를 2순위 접종 대상자인 50대와 기저질환자로 확대하는 등 차순위 접종 일정을 오는 26일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앞서 동절기 추가접종에 투입된 모더나와 화이자의 BA.1 기반 2가 백신 외에 지난주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화이자의 BA.4, BA.5 기반 2가 백신(2차 개량백신)을 적극 활용하는 접종 계획이 마련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백경란 질병청장은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건강 취약계층의 동절기 추가접종이 매우 중요하다"며 "추가접종자는 기존 백신보다 2가 백신을 활용한 동절기 추가접종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의 동시 유행을 우려해 2종의 백신을 동시에 접종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 접종자는 예방 접종 시기가 겹치는 경우 각기 다른 팔에 코로나19 백신과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을 수 있다.

cal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