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NASA, 지난 24일 ISS 긴급 회피 기동 실시
지난해 11월 러시아 위성요격미사일 실험 여파
'케슬러 신드롬' 현실화 우려 짙어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2013년 개봉한 미국 영화 '그래비티(Gravity)'.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 중이던 주인공들이 우주쓰레기의 습격으로 겪는 고난이 주요 소재다. 우리나라에서 2021년 개봉한 영화 승리호(Space Sweepers)는 우주쓰레기로 가득 찬 지구 궤도에서 살아남는 인류의 모습을 그렸다.
이른바 '케슬러 신드롬(Kessler Syndrome)'을 영화화한 대표적 사례들이다. 케슬러 신드롬은 도널드 케슬러 미 항공우주국(NASA) 과학자가 1978년 펴낸 논문에서 소개했다. 위성 발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만약 위성들끼리 충돌할 경우 그 파편들이 연쇄적으로 위성들을 파괴해 우주쓰레기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수 있다. 결국에는 지구 궤도 전체를 둘러싸게 돼 인간의 우주 진출은 물론 지구 궤도 활동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였다.
최근 과학자들은 이같은 케슬러 신드롬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최근 ISS가 지난해 11월 실시된 러시아의 위성요격미사일(ASAT) 실험으로 생긴 우주 쓰레기를 피하기 위한 두 번째 회피 기동을 실시한 것도 대표적 사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NASA는 지난 24일 오후 8시25분쯤(미국 동부시간) ISS 운영팀이 기동용으로 접안해 있는 러시아의 화물선 프로그레스81호 추진기를 점화해 5분 5초간 회피 기동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ISS의 궤도는 지구로부터 최소 0.32km에서 최대 1.3km 더 높아졌다. 이번 회피 기동은 2021년 11월 15일 러시아가 위성요격미사일을 시험하기 위해 자신들의 위성 코스모스1408호를 파괴한 후 생성된 우주쓰레기의 접근이 예상됨에 따라 ISS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알려졌다. 러시아 위성요격미사일 실험 후 생긴 파편 때문에 단행된 ISS의 회피기동은 지난 6월에 이어 벌써 두 번째다. ISS는 실험 직후에도 우주인들을 대피소로 긴급 피난하도록 하는 등 비상 안전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우주쓰레기는 갈수록 늘어나면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유럽우주청(ESA)은 지구 궤도 전체에 10cm 이상 3만6500개 이상, 1~10cm 100만개 이상, 1cm~1mm은 약 3억3000만개 이상의 우주쓰레기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우주쓰레기들은 초속 7km 이상의 엄청난 속도로 지구 궤도를 돌기 때문에 작은 크기라도 위성에 엄청난 타격을 입힐 수 있다.
특히 ISS는 1999~2021년 사이에만 29회의 우주쓰레기 회피 기동을 실시했고, 2020년에만 3회 등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한편 미국은 올해 초 러시아의 위성요격실험을 비판하면서 우주쓰레기 확산을 막기 위해 국제적인 금지 협약 선포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뉴질랜드와 우리나라가 동의한 상태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