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중대재해법 시행 후

잇따른 사고에 유통업계 안전불감증 도마 위…'중대재해처벌법 1호' 될까 초긴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한달 사이에 유통업계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 안전불감증이 도마에 오르면서 업계가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다.

지난달 15일 SPC 계열 SPL 제빵공장에서 20대 근로자가 소스 배합기에 끼이는 사고를 당해 사망하고 같은 달 23일 샤니 제빵공장에서 40대 근로자가 손 끼임 사고를 당해 국민의 질타를 받았다.

사고 이후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대국민사과와 재발방지를 약속했음에도 미흡한 대처에 논란이 일면서 제품 불매 운동으로까지 이어졌다.

특히 사망 사고가 발생한 공장에서는 이전에도 비슷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온 것이 알려지면서 안전 관리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지난 2일에는 농심 부산공장에서 작업자 끼임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 피해자는 라면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기계에 옷이 끼이면서 팔도 함께 들어가 부상을 입었다. 당시 함께 작업 중이던 동료가 비상 정지 버튼을 눌러 큰 사고를 면할 수 있었다.

농심은 사건 발생 직후 해당 생산동 전체 작업을 중단하고 전 직원을 철수시킨 뒤 경찰 조사에 임한 것으로 전해졌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재해 사고사망자는 828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기본 안전수칙만 철저히 준수해도 충분히 예방가능한 재래형 사고는 사망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떨어짐 351명(42.4%)', '끼임 95명(11.5%)' '부딪힘(72명)', '깔림·뒤집힘(54명)', '물체에 맞음(52명)' 순이다.

사망사고의 대부분은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에서 발생했다. 5~49인 사업장이 352명, 5인 미만이 318명으로 전체 사망자수의 80.9%를 차지했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 50인 이상 사업장의 사고사망자 수는 168명에서 158명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들어 사고 발생이 잦자 유통업계가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SPC 사태에서 봤듯 불매운동 등 그 파장이 크고, 올해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는 만큼 '1호' 꼬리표를 피하고 싶기 때문이다.

대부분 기업들이 기존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한 재점검 작업을 벌이는 등 조심하는 분위기다.

롯데쇼핑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안전관리 조직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바꿨고, 별도 안전관리팀을 신설해 전문가들을 채용해 운영하고 있다. 또 기존엔 안전 관련 사항들을 자체적으로 점검했지만, 최근엔 외부 기관을 통해서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안전 관련 전문 인력을 보강하고 내부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외부 기관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안전사고 예방 활동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일례로 이마트는 모든 매장에 안전관리자가 근무하고 있고, 기존 안전관리팀과 품질관리팀을 하나로 모아 '안전품질담당' 부서를 신설, 임원급 조직으로 격상하기도 했다.

현대백화점그룹도 지난 8월 전 점포에 안전관리자 배치를 완료했다. 안전관리자 직접고용 의무사업장인 본사와 백화점 점포는 물론, 법적 의무가 없는 점포에도 모두 배치했다.

그럼에도 지난 9월 현대프리미엄아울렛에 발생한 화재로 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현대백화점그룹 측은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점포별 철저한 안전 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화재 참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현재까지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여러 사고 이후 경각심이 커지면서 시설물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며 "특히 사전 안전교육과 시설물 점검으로 근로자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