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취업과 일자리

체감경제 고통지수, 청년층 가장 높다…취업난‧고물가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핵심요약
전경련,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 분석
청년층, 5명 중 1명 미취업…물가상승으로 생활비 부담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이른바 3(高)현상으로 인해 전 세대 중에서 청년층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4일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 산출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25.1로, 코로나 19 확산 이전 수치(23.4)를 회복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급격한 물가상승이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 상승에 영향을 줬다.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물가상승률은 5.2%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0.5%)의 10배 수준에 달했다.

올해 1~3분기 평균 기준 지출 목적별 물가상승률은 교통(11.7%), 음식 및 숙박(7.3%),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5.9%), 기타 상품 및 서비스(5.5%)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부문은 전체 물가상승률(5.0%)보다 높았다.

청년들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것은 청년들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 등에서 물가가 급등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경제위기와 함께 일자리 감소도 청년들에게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2019년(22.9%)에 비해선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연령대별 체감실업률은 60대(11.3%), 30대(9.5%), 50대(8.7%), 40대(7.9%) 등을 기록했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도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여명을 기록했지만,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약 126만개로, 대졸자 규모의 약 57% 수준에 불과했다.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출금리가 동반 상승하면서 청년들의 재무 건전성도 악화되고 있다.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청년층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2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은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 수준이었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7년 24.2%에서 2002년엔 32.5%까지 증가했다가 지난해 29.2%로 줄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경련 추광호 경제본부장은 "청년 취업난에 급격한 물가상승까지 더해져 청년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규제 혁파,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고용유연성 확보 등으로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민간 일자리들이 많이 만들어질 수 있는 고용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