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코로나19' 6차 대유행

코로나19 확진자 두달 만에 7만명대 진입, 가팔라진 유행곡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10일 오전 서울 송파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서 기다리고 있다. 2022.11.10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에서 7만명이 넘는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나왔다. 하루 확진자 수가 7만 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9월 15일(7만 1444명) 이후 두 달 만이다. 코로나19 재유행이 본격화하면서 유행 곡선이 가팔라지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5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7만 2883명 늘어 누적 2629만 877명이 됐다. 화요일 기준으로 보면 지난달 18일 3만 3218명, 25일 4만 3739명, 11월 1일 5만 8360명, 8일 6만 2260, 15일 7만 2883명으로 한주 마다 앞자리가 바뀌고 있다. 확진자가 한 달새 2배 이상 불어난 것이다.

한주 전과 비교해 확진자가 2배 이상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이달 말 확산세에 가속도가 붙으며 내달 정점을 찍을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방역당국은 주간 일평균 최대 20만명 확진자 발생을 예상했다.

입원 치료를 받는 위중증 환자 수는 412명으로 이틀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 신규확진이 증가하자 시간차를 두고 사망자도 늘어 최근 1주일간(9~15일) 코로나19로 328명이 숨졌다. 10월 둘째주(9~15일) 코로나19 사망자 162명보다 2배 가량 많다. 중환자 병상은 3분의 1이 찼다.

코로나19 유행과 관련한 각종 수치가 악화하고 있지만, 동절기 백신 추가 접종률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동절기 접종률은 대상자(확진자 제외)대비 4.2% 수준이며,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으로 악화할 위험이 큰 60세 이상 고령층의 접종률도 12.7%에 불과하다. 정부는 적극적인 접종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져 접종률을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에 여러번 감염되면 롱코비드, 즉 후유증도 커진다”며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예전처럼 백신 휴가를 사용할 수 있게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