習 EU 상임의장 회담서 “봉쇄 규정 완화”
장쩌민 전 주석 애도, 시위 촉발제 우려속 방역 수정
감염자 폭발 가능성...확진자 2.3억명 전망
규제 완화에도 경제부담 해소 힘들듯
지난달 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코로나19 봉쇄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지자 경찰이 통제에 나선 모습. 지난달 24일 신장 우루무치에서 화재로 10여명이 숨진 사건의 원인이 봉쇄 설치물 때문이란 의혹이 커지가 베이징에선 '백지 시위'가 벌어졌다. [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고강도 방역 정책인 ‘제로 코로나’를 완화할 것을 시사하면서 ‘위드 코로나’ 전환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앞서 AFP통신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1일 베이징에서 열린 샤를 미셸 EU 상임의장과 회담에서 최근 확산하는 오미크론 변이가 기존 코로나19 변이보다 덜 치명적이라며 봉쇄 규정 완화가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최고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규제 완화에 대한 입장을 공식 발표하진 않았지만 시 주석이 (코로나 규제 완화로) 정책 전환을 주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달 11일 ‘방역 최적화’라는 이름으로 20가지 방역 유연화 조치를 내놓았지만 이후 급격히 감염이 확산하자 지방별로 다시 봉쇄 중심의 고강도 방역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계속된 봉쇄에 주민들의 불만은 산발적인 시위로 이어졌다. 급기야 지난달 24일 신장 우루무치의 한 아파트에서 10명이 사망하는 화재사고의 피해 원인이 봉쇄용 설치물 때문이란 지적이 제기되자 베이징과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서 방역 완화를 요구하는 ‘백지 시위’가 벌어졌다.
정부의 코로나 봉쇄 정책과 검열에 저항한다는 의미로 아무것도 적히지 않은 하얀색 A4 용지를 든 ‘백지 시위’는 장쩌민 전 주석의 사망(11월30일) 애도를 계기로 더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됐다. 중국에서 정부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전국적으로 발생한 건 1989년 6·4 톈안먼 사태 이후 처음이다.
시진핑 주석의 제로 코로나 수정 선언은 이처럼 정치적 부담이 급격히 고조한 가운데 나왔다. 톈진과 청두, 충칭 등은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필요했던 PCR검사 결과를 폐지했다. 베이징도 5일부터 같은 조치를 취하기로 했으며 지난 주말부터는 양성 반응이 나와도 중앙 격리시설이 아닌 집에서 자체 격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당장 급격한 방역 완화는 없지만 일종의 중간 다리인 ‘유연화’를 통해 위드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제로 코로나 완화에서 시 주석 앞에 놓인 과제는 첩첩산중이다. 사회적 동요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방역 정책의 끈을 풀고 있지만 자칫 감염자 폭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우자퉁 중국 광사 좡족 자치구 질병통제센터장은 상하이 예방의학저널에 게재한 논문에서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홍콩처럼 즉각 완화하면 본토 확진자가 2억3300만명으로 늘고, 사망자가 200만명 이상 나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방역 완화의 중대한 이유 중 하나였던 경제 회복도 기대에 못 미칠 수 있다.
리서치업체 나틱시스의 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앨리샤 가르시아 에레로는 블룸버그에 “중국은 2022년 정부가 목표로 한 성장률의 절반밖에 이루지 못할 것”이라며 “부동산 위기, 인구 고령화, 생산성 감소 등 중국의 구조적 경제 부진 요인은 여전하기 때문에 규제가 완화되더라도 중국 경제는 계속 부담을 안고 갈 것”이라고 밝혔다.
kw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