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산업생산과 소비동향

“포항 제철소 침수 피해로 산업 전반 최대 2.4조원 생산 차질 위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OK 이슈노트 철강 생산 차질의 경제적 영향 점검

태풍 힌남노 이후 포항지역 제철소 침수 여파 분석

산업전체 1.5~2.4조원 가량 생산 차질 빚을 가능성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지난 9월 태풍 힌남노로 경상북도 포항 지역 제철소에 대규모 침수 피해가 발생해 조선, 자동차에 쓰리는 철강 생산 차질을 빚고 있다. 업체들이 재고를 보유한 덕분에 11월까지는 주요 전방산업에서 철강재 수급차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지만, 생산 차질 여파가 이어지면 우리 산업 전체에 최대 2조4000억원의 생산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단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철강 생산 차질의 경제적 영향 점검’에 따르면 철강재 공급 충격의 영향을 공급유도모형을 통해 시산한 결과, 주요 전방산업에 5000~7000억원, 산업 전체로는 1조5000억원~2조4000억원의 생산 차질을 야기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지난 15일 포항제철소 제2열연 공장이 조기 재가동되면서 산업별 파급영향은 추정 범위 하단 수준인 1조5000억원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규모로 보면 97만톤에서 최대 150만톤의 철강 생산 차질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했다.

이는 포항지역 제철소에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철강재를 수입품으로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자체 재고가 소진되면 공급 차질이 발생해 전방산업 생산에 즉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에 따라 도출된 결과다. 포항 조강생산량은 포항 조강생산량은 9월 전년비 62.9%, 10월 29.4%로 크게 감소했다.

이데일리



전방산업 중에서는 자동차 부문이 3000~5000억원으로 관련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됐다. 이어 건설이 1000~2000억원의 생산 차질이 예상됐으며, 조선은 300~500억원 가량으로 추산됐다. 주요 전방산업에서 포항제철소 생산 철강의 사용 비중은 조선(23.3%)과 자동차(19.8%)에서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준호 한은 조사국 지역연구지원팀 과장은 “포항지역 제철소 설비정상화가 지연될 경우 자동차 산업의 전기강판, 조선의 특수강 부문에서 수급문제가 발생하여 생산활동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산업별 피해액이 다르게 시산된 것은 각 산업별 생산 제반 여건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생산 차질 추정액이 가장 큰 조선의 경우 후판에 필요한 철강 제품은 업체들이 재고를 2~6개월분 가량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다가 국내 다른 기업이나 수입 등을 통해 조달처를 변경하면서 대응이 가능하지만, 특수강의 경우 별도 재고량이 없어 포항 지역의 침수를 연내에 복구하지 않으면 LNG선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LNG선은 최근 수주가 크게 늘고 있는데 2022년 수주의 84.1%를 차지할 정도로 수요가 늘고 있다.

건설과 자동차는 조선에 비해선 생산 차질 우려가 적은 편이다. 자동차용 강판은 포항제철소 공급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으며, 전기모터 등에 활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수출 물량 조절, 광양제철소 대체생산 등으로 아직 공급 리스크가 현실화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다만 포항제철소 공급 비중이 높은 철강재들의 경우 대체생산에 차질을 빚거나 포항공장 정상화가 지연되면 수급 차질이 확대될 위험도 남아있다. 특히 전기차 업체들은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급에 문제가 생기면 전기차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건설업의 주재료인 철근, 형강은 포항제철소에서 생산되지 않아 침수의 영향은 거의 없으며, 포항제철소 공급 비중이 큰 선재의 경우 건설업에서 사용하는 철강재의 3.3%에 불과하고 수입 대체가 비교적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측은 태풍 힌남노에 따른 철강 생산 차질이 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아직 크지 않지만, 철강재는 산업의 핵심 중간재라는 점에서 포항지역 철강 생산의 완전 정상화가 지연될 경우 연관산업 생산, 철강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빠른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준호 과장은 “피해 복구 노력과 함께 적정 재고 비축, 조달처 다변화 등 철강생산 차질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