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안보리, 첫 미얀마 결의안 채택…폭력 종식과 정치범 석방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주 제도·절차 유지하고 건설적 대화 추구하라"…중·러·인도는 기권

연합뉴스

미얀마 결의안 채택하는 유엔 안보리
[뉴욕 AFP=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군부 독재로 신음하는 미얀마에 관한 첫 결의안을 21일(현지시간) 채택했다.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회의를 열어 찬성 12개국, 기권 3개국으로 미얀마에 관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영국이 초안을 작성한 이번 결의안은 지난 1948년 옛 버마의 유엔 가입을 권고한 안보리 결의 이후 74년 만에 처음으로 미얀마 문제를 다룬 결의안이다. 중국, 러시아, 인도를 제외한 12개 이사국이 찬성한 결의안에서 안보리는 미얀마 군부에 즉각적인 폭력 종식과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을 비롯해 "자의적으로 구금된" 모든 정치범 석방을 요구했다.

결의안은 미얀마 군부의 비상사태 도입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면서 "민주주의적 제도와 절차를 유지하고 국민의 뜻과 이해에 따라 건설적 대화와 화해를 추구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 7월 시민운동가들에 대한 처형을 강력 규탄하면서 "폭력 수위를 낮추고 지속 가능한 정치적 해법에 도달하기 위해 평화적이고 진실하며 포괄적인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결의안은 미얀마 군부가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에서 합의된 평화 계획을 이행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조치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안보리 표결에 앞서 스테판 뒤자리크 유엔 대변인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미얀마 인권 상황 악화를 "극도로 우려하고 있다"며 결의안 채택을 호소했다.

그러나 미얀마 군부와 가까운 중국과 러시아는 서방 이사국들과 온도차를 보였다.

장쥔 주유엔 중국대사는 "중국은 여전히 우려를 갖고 있다"면서도 "이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방법은 없다"고 말했고, 바실리 네벤쟈 주유엔 러시아 대사도 미얀마 문제를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지난해 7월 미얀마 양곤에서 벌어진 반정부시위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firstcircl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