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군정, '정치범 석방' 안보리 결의에 반발…"내정 간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교부 "정부 흔들려는 의도…수용 못해"

연합뉴스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김범수 특파원 = 미얀마 군사정부가 정치범 석방 등을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24일 AFP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 외교부는 전날 성명을 내고 안보리의 결의안 채택을 비판했다.

외교부는 "결의안은 미얀마 내정에 간섭하는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유엔의 목적과 원칙에 어긋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얀마 정부를 지지하지 않고 오히려 흔들려는 의도는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결의안을 수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2월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명분으로 내세웠던 부정 선거 주장도 되풀이했다.

미얀마 군부는 당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압승을 거둔 재작년 11월 총선이 부정으로 얼룩졌다면서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후 수치 고문을 비롯한 NLD 소속 인사들을 대거 구금했고, 이에 저항하는 시민들을 무력을 동원해 탄압하면서 유혈 사태가 계속되고 있다.

현지 인권단체에 따르면 군정에 맞서 저항 운동에 나섰던 시민 2천500여명이 군경의 총격 및 가혹행위로 인해 목숨을 잃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여러 국제단체들은 군정의 부정선거 주장을 일축하면서 총선은 공정하게 치러졌다고 입장을 밝혀왔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미얀마 군부에 즉각적인 폭력 종식을 비롯해 수치 국가고문 등 자의적으로 구금된 모든 정치범 석방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영국이 초안을 작성한 이번 결의안에는 12개 이사국이 찬성했다.

미얀마 군정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인도는 기권했다.

bumso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