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기 위축에 수출 감소 불가피…잠재성장률 하회 예상
물가 오름세 둔화하지만 '고금리'…취업자 증가 폭 축소
"성장 지탱할 동력 부재"…'L자형' 침체 우려도
서울 명동거리 |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내년 한국 경제는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1%대 저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경기가 위축되면서 우리 경제의 핵심 동력인 수출이 감소하고 고금리 등으로 민간 소비도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물가 상승세는 올해보다 둔화하지만, 여전히 물가안정 목표를 웃도는 고물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고용 시장의 둔화도 불가피해 보인다.
◇ 내년 한국경제, 대형 경제위기 때와 유사한 부진 예상
26일 정부와 한국은행 등 주요 기관들에 따르면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정부는 1.6%까지 성장률을 낮췄다. 한국은행(1.7%), 국책연구원 KDI(1.8%) 등보다 낮은 수치다.
우리 경제가 2%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기록했을 때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8%),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등 대형위기를 맞았을 때를 제외하고는 없다.
내년 경제가 대형위기 다음으로 힘든 상황이 될 것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그래픽] 주요 기관 경제성장률 전망 |
◇ 내년 세계 경제 위축에 수출 감소…최근 경기 하강 속도 가팔라
내년 경기 하강의 가장 큰 배경으로는 수출 감소가 꼽힌다.
이는 전 세계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우리 수출에 악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이미 수출은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0월 수출(통관 기준)은 1년 전보다 5.8% 감소한 데 이어 11월(-14.0%)에도 뒷걸음질 쳤다. 이달 들어 20일까지도 8.8% 줄어 석 달 연속 감소가 예고된 상황이다.
정부가 내년 수출이 4.5%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내년 수출의 역성장은 기정사실로 간주되는 분위기다.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지수(계절조정 기준)는 110.5(2015년=100)로 전월보다 3.6% 감소했다. 감소 폭으로는 2020년 5월(-7.5%) 이후 가장 크다.
제조업 생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 10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1.5% 줄어 2020년 4월(-1.8%) 이후 30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최근 경기 하강 속도가 코로나19 확산 초기만큼 가파른 것이다.
이에 올해 4분기 한국 경제가 역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래픽] 산업활동 증감 추이 |
◇ 물가 오름세 둔화하지만 고금리 유지…민간 소비·투자 둔화
올해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까지 치솟았던 물가는 내년에 상승세가 다소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물가 상승세가 올해 5.1%에서 내년 3.5%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5.1%→3.6%), KDI(5.1%→3.2%) 등도 비슷한 전망을 하고 있다.
원자재 가격 하락과 수요 둔화 등이 하방 압력으로 꼽힌다.
다만 이는 여전히 한국은행이 목표로 하는 물가 안정 목표 2%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고물가가 장기화하면 한은도 3%를 넘어선 기준금리를 쉽사리 내릴 수 없다.
이는 민간 소비의 둔화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가계의 저축 여력 등으로 큰 회복세를 보였던 민간 소비는 내년 금리 상승과 자산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민간 소비가 올해 4.6% 증가에서 내년 2.5% 증가로 증가 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4.7% 증가에서 내년 2.7% 증가로 둔화할 것으로 봤다.
예고된 전 세계 경기 침체, 고금리 등으로 투자 또한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 민간소비의 경제 성장 기여도 |
◇ 취업자 수 증가 폭도 둔화…"성장 지탱할 동력 부재"
올해 큰 호조를 보였던 고용시장도 내년에는 찬 바람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내년 취업자가 10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9만명), KDI(8만명)는 10만명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올해 예상되는 취업자 증가 폭인 80만명 안팎에서 대폭 낮아진 수치다.
올해 일상 회복에 따른 경제 활동 참여, 비대면·디지털 전환 등으로 취업자 수가 이례적으로 많이 늘어난 만큼 통계적 기저효과 등으로 상당 폭 둔화하는 흐름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이는 가계의 소득 증가 둔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1월 취업자 62만명 늘었지만 청년층은 줄어 |
이처럼 내년엔 우리 경제의 핵심 동력인 수출을 포함해 내수마저 위축되는 경기 한파가 닥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상황이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전반적인 경기 흐름을 보면 지난해에는 수출 호조세가 뒷받침해줬고 올해는 소비가 살아나서 뒷받침해줬다면, 내년에는 우리 경제 성장률을 높여줄 만한 뚜렷한 부문이 보이지 않는다"며 "내년 물가는 기대만큼 떨어지지 않아 가계가 소비를 늘리기도 어렵고 침체가 온다고 하니 기업은 투자를 늘리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내년 'L자형' 침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잿빛 전망도 나온다.
내년 세계 경제의 침체가 지속되고 고금리의 영향이 6개월∼1년 뒤 실물경제에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우리 경제가 하강한 뒤 반등하지 못하고 하락 국면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내년 상반기에 어려움이 집중되고 하반기에 회복 흐름이 나타나는 '상저하고'를 기대하고 있다.
조 연구위원은 "예상되는 침체 진입 시기는 유럽은 올해 겨울, 미국은 내년 중반,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은 그다음"이라며 "내년 세계 경제가 올해보다 나빠지고 고금리의 영향이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임을 고려하면, 우리가 겪을 침체의 시기는 더 늦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encounter2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