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빌딩이 아닌 근린생활시설과 상가건물 등에서 5세대(5G) 이동통신에 제대로 접속되는 비율이 80%도 안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중소시설에 통신사가 상대적으로 기지국과 통신장비를 적게 설치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통신사의 5G 투자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 이르면 2024년부터 이용자가 직접 5G 접속률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최근 공개된 정부의 5G 통신 품질평가 결과 중소시설 대상 5G 접속 가능 비율은 78%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5G 접속 가능 비율은 일정 시간 동안 해당 건물에 체류할 때 5G가 잡히는 수준을 뜻한다. 정부가 임의로 선택한 대로와 생활도로 주변 근린생활시설과 상가건물 등 중소시설 142개 건물을 상대로 접속 가능 비율을 측정한 결과 지하철, 다중이용시설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통신 품질이 확인된 것이다. 놀이공원, 백화점, 전통시장, 대학교 등 다중이용시설(96.5%)과 지하철, KTX, SRT 등 교통시설(91.7%)은 중소시설 대비 5G 접속 가능 비율이 높았다.
반면 중소시설만 놓고 보면 대로변 쪽 건물은 5G 접속 가능 비율이 81.7%였지만 생활도로(대로가 아닌 이면도로)는 74.7%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도시(80.6%)와 중소도시(76.4%) 간에도 5G 접속 가능 비율 격차가 있었다. 통신 3사가 전국에 걸쳐 5G 커버리지를 늘리긴 했지만, 구체적으로 보면 5G 기지국 설치, 건물 안 통신장비 추가 설치 등이 아직 필요한 것이다.
중소시설에 대해선 이번에 정부가 처음으로 5G 품질평가를 실시했기 때문에 과거 수치와 비교할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통신이 잘 터지려면 건물 곳곳에 기지국과 연결되는 선을 많이 깔아야 하는데 그 부분에서 일부 미흡한 점이 있다"며 "또 일부 통신사는 기지국 내 통신장비를 옛날 방식으로 유지했다가 들켜서 시정한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르면 2024년부터 민간인이 직접 5G 접속 가능 비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일상에서 실제 소비자가 체감하는 통신 품질 연관 장소인 중소시설 등에서 5G 접속이 잘 안 된다는 소비자 불만이 사실인지 이용자가 직접 평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