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스라엘 “공공장소서 팔레스타인 깃발 철거”…외교장관 여행 금지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극우 세력을 기반으로 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연립 정부가 들어선 뒤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압박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이타마르 벤-그비르 신임 국가안보 장관은 공공장소에서 팔레스타인 국기를 철거하도록 지시했으며, 이스라엘 외무부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외교장관의 국외 이동을 사실상 금지했다.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등 현지 매체들은 9일(현지시간) 극우 성향의 벤-그비르 신임 장관이 전날 코비 샤브타이 경찰청장에게 모든 공공장소에서 팔레스타인 국기를 철거할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에서 팔레스타인 국기를 게양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지만, 경찰은 공공질서 유지를 위해 특정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폭넓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

이날 지시는 1983년 이스라엘 군인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40여년을 복역한 팔레스타인 남성 카림 유니스가 지난주 석방된 뒤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들며 영웅적 환대를 받은 뒤 나온 조치라고 외신들은 설명했다. 당시 이같은 축하 행사가 테러를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던 벤-그비르 장관이 이젠 깃발을 흔드는 행동까지 문제 삼은 것이다.

벤-그비르 장관은 성명에서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드는 것은 테러리즘을 지지하는 행위”라며 “법을 어기는 사람들이 ‘테러 깃발’을 흔들고 선동하고, 지원하는 것은 있을 수 없기에 공공장소에서 테러를 지지하는 깃발을 철거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테러리스트의 것으로 식별되거나 이스라엘 방위군에 해를 끼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것들은 언론의 자유로 보호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압박은 최근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스라엘 외무부는 이날 브라질 방문 후 요르단강 서안으로 돌아가려던 리야드 알-말리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외교장관의 여행 허가서를 무효화 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에 점령된 요르단강 서안 주민들이 해외여행을 하려면 이스라엘 당국의 여행 허가서를 받아야 하는데, 이를 제재해 발을 묶은 것이다. 이로 인해 알-말리키 장관은 검문소에 30분간 구금되기도 했다.

이번 여행 금지는 팔레스타인이 유엔을 통해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이스라엘의 서안 점령이 합법적인지에 대한 판단을 구하자, 보복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이스라엘 정부는 ICJ 회부 이후인 지난 6일에도 안보 관계 장관회의에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대한 제재를 결의한 바 있다. 당시 결의안에는 팔레스타인 점령지 중 ‘C 지역’에서 팔레스타인 측 건설 공사를 전면 중단하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관할 관세 1억3900만 셰켈(약 500억 원)을 압류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은 네타냐후 총리가 지난해 11월 극우 정당들과 연정을 구성한 뒤 한층 심화됐다. 네타냐후 총리는 집권 이후 극우 정당 지도자들에게 경찰 치안이나 팔레스타인 정착촌 등을 관할하는 업무를 맡겨 갈등의 불씨를 키웠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 플랫이 선정한 2022년 올해의 여성은 누구일까요?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