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이 우리나라 무너뜨리려 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총리, 유엔 결의안 채택에 대한 잇단 보복 비판

이스라엘 점령지, 극도로 위태로운 상황 처해


한겨레

5일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팔레스타인의 리야드 만수르 대표가 이스라엘이 점령한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에서 벌이고 있는 정책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유엔본부/UPI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모하마드 시타예 팔레스타인 총리가 9일(현지시각) 이스라엘의 극우 정부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자국을 무너뜨리기 위한 제재 조처를 잇따라 취하고 있다며 갈등 고조를 경고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팔레스타인의 제안으로 유엔이 지난달 30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합법성에 대한 법률적 의견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채택한 이후 이스라엘의 강경 조처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 정부의 세수 수백만달러를 최근 동결시켰고, 팔레스타인 정부 고위층의 ‘요인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 조처를 취했다. 게다가 아동들의 교육 문제를 논의하는 팔레스타인 부모들의 모임까지 해산시키고, 8일에는 팔레스타인 국기 게양도 금지시켰다.

시타예 총리는 주례 내각 회의에서 이스라엘의 이런 조처는 “팔레스타인 정부를 무너뜨리고 재정·제도적으로 궁지에 몰아 넣으려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행위는 팔레스타인 국민들에 대한 새로운 전쟁에 나선 것으로 우리는 간주한다”고 덧붙였다.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후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을 점령했으며, 이 지역 내 정책에 대한 국제사법재판소의 의견을 요청하는 유엔 결의안 채택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국제사법재판소의 법률적 의견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시타예 총리는 유엔 결의안 채택이 평화 유지에 반하는 행동이라는 이스라엘의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고 이스라엘 일간 <하레츠>가 전했다. 그는 “우리는 항의를 제기할 권리가 있고, 우리가 고통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세계에 알릴 권리도 있다”며 “이스라엘은 점령에 저항하는 가장 비폭력적인 대응조차 저지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제재는 두쪽의 상황이 아주 위태로운 가운데 취해지고 있다. 이스라엘 인권 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에서 팔레스타인 주민 150여명이 이스라엘군의 발포 때문에 숨졌다. 이는 19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던 2004년 이후 가장 많은 희생자 규모다.

한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8일 팔레스타인에 대해 취한 여러 조처는 유엔에서 이뤄진 ‘극도의 반 이스라엘’ 조처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출범한 이스라엘의 새 연립정부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극우 강경론자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에이피>는 지적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

▶▶이태원서 떠난 뒤 세상에 온 너의 노래 “다시는 그곳에…”
▶▶손웅정 심은 데 손흥민 났다! “검색 아닌 사색의 힘” [인터뷰]▶▶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