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일회용 대신 다회용" 충남, 다회용기 선순환 모형 구축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홍성) 정일웅 기자] 충남도가 다회용기 선순환 모형 구축을 위해 용역에 착수한다. 용역은 카페에서 사용하는 1회 용품을 대체해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포장 음료 다회용기 사용 시스템을 구축할 목적으로 진행한다.

도는 19일 도청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충남형 다회용기 선순환 모형 구축 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용역은 다회용기 사용·수거·세척·공급을 통한 1회 용품 사용 억제와 다회용기 사용의 순환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두고 올해 말까지 진행한다.

용역의 주요 내용은 ▲시범 사업 지역 내 음료 방문 포장 실태 파악 및 참여 카페 모집 ▲전용 앱 기반 다회용기 서비스 구축 및 운영 ▲다회용 컵 대여·수거·세척·재공급 서비스 절차 통합 관리 ▲주민참여형 사업 홍보 및 이용 실적 관찰(모니터링) ▲장례식장 등 다회용기(부속기기 포함) 지원 및 이행 여부 점검 ▲타지역 선행 추진 회수시스템 문제점 및 보완 방안 제시 등이다.

시범사업은 방문 포장(테이크아웃) 음료 주문 시 1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을 사용하고 장례식장 등 1회 용품 사용이 많은 사업장에서의 다회용기 사용 확산을 구분해 추진할 예정이다.

다회용 컵 사용 시범사업은 우선 청사 내 희망카페 및 참여 카페에서 운영한다. 음료를 방문 포장할 때 1회용 컵 대신 도가 제공한 다회용 컵으로 받고 사용한 컵은 참여 카페 및 도청 1층 희망카페 등에 마련한 반납함에 반납하는 방식이다.

반납한 다회용 컵은 충남광역자활센터가 매일 수거해 세척·살균·소독 등 7단계 처리 과정을 거쳐 다시 카페에 공급한다.

조원갑 도 자치안전실장은 “용역은 매장이 개별적으로 시행하기 어려운 다회용 컵 공유 시스템을 구축해 1회 용품 사용을 줄임으로써 탄소중립 실현을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둔다”며 “사업을 계기로 일상에서 환경보호와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우수사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